금융노조 2만 명 파업 돌입...은행 대부분 정상 영업

금융노조 2만 명 파업 돌입...은행 대부분 정상 영업

2016.09.23. 오전 11:5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금융노조가 '성과연봉제' 도입에 반대하며 오늘(23일) 하루 총파업에 돌입했습니다.

현재 서울 상암동 월드컵 경기장에서 노조원 2만여 명이 모여 집회를 열고 있지만, 파업 참가 인원이 예상보다 적어 은행 영업에는 큰 지장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당국도 은행별로 검사역을 파견하는 등 대응에 들어갔습니다.

집회가 한창 진행 중일 텐데요. 지금은 얼마나 많은 노조원이 참가했나요?

[기자]
지금까지 파악된 것으로는 집회 참가자는 2만여 명 수준입니다.

노조 측은 집회가 이어짐에 따라 노조원들이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은행권 파업 인원이 약 만 8천 명으로, 전체 은행 직원 대비 참가율을 15% 수준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특히 영업 점포가 많은 국민과 신한, 하나, 우리 이렇게 대형 4개 시중은행의 경우 참가율은 3% 안팎으로 집계했다고 전했습니다.

노조원들은 오전 9시부터 모이기 시작해 10시부터는 공식 집회에 들어갔습니다.

금융노조는 사전 행사를 거쳐 오전 10시 30분 총파업 선포식을 열었습니다.

김문호 금융노조 위원장을 비롯해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 민주노총 최종진 위원장 직무대행이 연단에 올라 파업 취지를 설명했는데요.

오후에는 각종 문화 공연과 투쟁 발언, 추후 파업을 위한 임시 대의원 총회 등이 열릴 예정입니다.

금융노조가 파업에 나선 건 정부를 중심으로 추진 중인 성과연봉제 도입에 반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노조 측은 성과연봉제가 이른바 '쉬운 해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여기에, 도입 준비 기간이 짧아 제대로 된 성과 지표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행하면 직원 간 판매 경쟁이 붙어 대출의 질이 떨어지고 불완전 판매가 기승을 부릴 수 있다는 점도 반대 이유입니다.

금융노조가 총파업에 나선 건 지난 2000년 7월과 2014년 9월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입니다.

[앵커]
아무래도 조합원들의 파업 집회 참가로 은행 업무 차질이 있지 않을까요?

[기자]
대부분 은행이 정상 영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은행 측은 애초 예상한 3~4만 명보다 적은 인원이 파업에 참여해 지점당 한두 명 정도 빠지는 수준으로 업무에는 지장이 없다고 전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인터넷뱅킹이나 모바일뱅킹 등 직접 창구를 찾지 않아도 은행 업무를 보는 비대면 거래가 90% 이상 이뤄지고 있어 큰 혼란은 없습니다.

다만, 파업 규모가 커질 수도 있는 만큼 비상 계획에 따라 필수 인력을 대기시키고 거점 점포를 마련해 공백을 메울 대비를 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도 본격 대응에 들어갔습니다.

금융감독원은 17개 은행 본점에 검사역 50여 명을 파견했습니다.

본점과 영업점 전산 시스템이 정상 가동되고 있는지, 은행 고객들에게 총파업 관련 안내가 제대로 되고 있는지를 점검하기 위해서입니다.

또 비상 상황에 대비한 은행들의 거점 점포 운영 상황과 대체 인력 투입 계획도 살피고 있습니다.

한국은행도 파업으로 금융 전산망 운영에 차질이 생길 가능성에 대비해 비상 상황반을 가동하고 있습니다.

금융기관 파업으로 지급 결제 업무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오후 5시 반으로 정해져 있는 금융망 마감 시간을 연장할 방침입니다.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YTN 강태욱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