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확산, 보안이 열쇠

핀테크 확산, 보안이 열쇠

2015.02.08. 오전 05:1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정부는 금융과 IT의 융합인 핀테크 활성화를 위해 사전 보안성 심의를 폐지하는 등 규제를 풀 계획입니다.

하지만 핀테크도 결국 보안에 대한 믿음이 있어야 확산이 가능한데, 아직 갈길이 멀어보입니다.

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카드사의 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 FDS 시연 모습입니다.

FDS는 카드 사용자의 접속 정보와 거래 내역 등을 분석해뒀다가 뭔가 수상한 행태가 나타나면 걸러내는 시스템입니다.

정부 핀테크 육성 정책에 따라 올해 하반기부터 사전 보안성 심의가 폐지되고 업계가 자율적으로 보안 체계 구축을 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지급결제나 송금 등의 분야에는 이런 FDS 구축이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합니다.

시중은행의 경우 16곳 가운데 10곳만 구축된 상황입니다.

증권사의 경우도 도입한 곳이 8곳에 불과합니다.

[인터뷰:신제윤, 금융위원장]
"카드사와는 달리 은행과 증권사들은 그동안에 FDS 구축이 미흡해서 이와 같은 금융피해가 나타날 수 밖에 없었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FDS 고도화와 확산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업체간 정보 공유가 필요하지만 아직 규제에 묶여 있습니다.

보안 전문가들은 사후 보안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전 보안체계 개발도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애플페이의 경우 안전도 높은 생체인증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인터뷰:안성진, 성균관대 컴퓨터교육과 교수]
"생체정보라든지 금융과 연계된 정보이기 때문에 이전의 주민번호보다는 훨씬 강력한 보안 방법들이 필요하게 됩니다."

업체에 확실하게 책임을 지우도록 하는 것도 중요한데, 정보유출 금융사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제 등을 담은 법은 아직 국회 계류중입니다.

YTN 이승은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당.점.사 - 당신의 점심을 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