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국토해양부는 친환경 에너지 바이오디젤의 원료인 해양 미세조류를 대량 배양할 수 있도록 오늘 인천 영흥도에서 배양액 2톤을 생산할 수 있는 배양장 준공식을 개최했습니다.
연구팀은 1단계 연구에서 해양광생물반응기와 바이오디젤 전환기술 등의 개발에 성공해 한국석유관리원의 바이오디젤 품질기준을 통과했고, 현재 2단계 연구를 통해 경제성 확보를 위한 응용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어 3단계 연구에선 연간 5만 톤의 석유를 대체할 수 있는 디젤 생산 플랜트 시설과 생산 공정을 완성해 2030년까지 연간 500만 톤 규모의 석유를 대체할 바이오디젤을 생산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3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전체 사용에너지의 최소 11%를 바이오에너지를 포함한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기로 했습니다.
바이오에너지 중 하나인 바이오디젤은 이산화탄소로 만들어져 환경 친화적이며, 액상 연료여서 기존 연료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승윤 [risungyoo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연구팀은 1단계 연구에서 해양광생물반응기와 바이오디젤 전환기술 등의 개발에 성공해 한국석유관리원의 바이오디젤 품질기준을 통과했고, 현재 2단계 연구를 통해 경제성 확보를 위한 응용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어 3단계 연구에선 연간 5만 톤의 석유를 대체할 수 있는 디젤 생산 플랜트 시설과 생산 공정을 완성해 2030년까지 연간 500만 톤 규모의 석유를 대체할 바이오디젤을 생산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3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전체 사용에너지의 최소 11%를 바이오에너지를 포함한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기로 했습니다.
바이오에너지 중 하나인 바이오디젤은 이산화탄소로 만들어져 환경 친화적이며, 액상 연료여서 기존 연료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승윤 [risungyoo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