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국내 휴대전화 가입자 2명 가운데 한 명은 스마트폰을 쓰고 있습니다.
이동통신사들은 스마트폰 가입자를 모으기 위해서 약정 할인이나 보조금 지급 등을 통해 최신 스마트폰을 출고 가격보다 싸게 팔고 있는데요.
그런데, 최근 한 국책연구소가 이동통신사가 공개하는 온라인 가격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판매가를 조사한 결과, 국내 가격이 다른 나라보다 수십만 원 가량 비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숭실대 경영학부 최정일 교수 전화로 연결해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세요.
[질문1]
앞서 말씀드렸지만,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 수가 상당히 빠른 속도로 늘고 있습니다.
그만큼 스마트폰 가격에 대한 관심도 높은데요.
스마트폰 가격, 그러니까 기기값은 어떻게 책정됩니까?
[질문2]
이렇게 책정된 스마트폰 가격이 신제품의 경우 대부분 백만 원 정도 수준이지만, 실제 소비자가 이동통신 대리점 등에서 가입할 때는 이 보다 낮은 수준 아닌가요?
[질문3]
약정 가입 등을 하면 이통사나 제조사의 보조금 혜택을 받아서 실제 판매가 보다 싸게 구입한다고 하셨는데요.
외국의 경우도 약정가입에 따른 할부 구매나 보조금 등이 지급되나요?
[질문4]
그런데 말이죠.
최근 한 국책연구소에서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공되는 보조금이나 할인 혜택 등을 제외한 온라인 가격을 기반으로 판매가를 조사한 결과를 보니까 국내 판매가가 해외 다른 나라보다 비싼 것으로 나왔습니다.
이유가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5]
결국, 국내 스마트폰 판매가는 높지만, 이통사나 제조사의 보조금과 같은 마케팅 비용 통해서 실제 소비자가 구매하는 비용은 낮다는 건데요.
그렇다면 외국과 비교했을 때 국내 이동통신사의 마케팅 비용은 어느 정도 수준입니까?
[질문6]
마지막으로 우리나라는 지난 5월부터 이통사 대리점을 통하지 않고도 대형마트나 가전 매장, 편의점 등에서도 휴대전화를 판매할 수 있는 단말기 자급제를 시행했지만, 효과는 아직 미미한 상태인데요.
국내 스마트폰 가격 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높이고, 스마트폰 유통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김현우 [hmwy12@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내 휴대전화 가입자 2명 가운데 한 명은 스마트폰을 쓰고 있습니다.
이동통신사들은 스마트폰 가입자를 모으기 위해서 약정 할인이나 보조금 지급 등을 통해 최신 스마트폰을 출고 가격보다 싸게 팔고 있는데요.
그런데, 최근 한 국책연구소가 이동통신사가 공개하는 온라인 가격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판매가를 조사한 결과, 국내 가격이 다른 나라보다 수십만 원 가량 비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숭실대 경영학부 최정일 교수 전화로 연결해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세요.
[질문1]
앞서 말씀드렸지만,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 수가 상당히 빠른 속도로 늘고 있습니다.
그만큼 스마트폰 가격에 대한 관심도 높은데요.
스마트폰 가격, 그러니까 기기값은 어떻게 책정됩니까?
[질문2]
이렇게 책정된 스마트폰 가격이 신제품의 경우 대부분 백만 원 정도 수준이지만, 실제 소비자가 이동통신 대리점 등에서 가입할 때는 이 보다 낮은 수준 아닌가요?
[질문3]
약정 가입 등을 하면 이통사나 제조사의 보조금 혜택을 받아서 실제 판매가 보다 싸게 구입한다고 하셨는데요.
외국의 경우도 약정가입에 따른 할부 구매나 보조금 등이 지급되나요?
[질문4]
그런데 말이죠.
최근 한 국책연구소에서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공되는 보조금이나 할인 혜택 등을 제외한 온라인 가격을 기반으로 판매가를 조사한 결과를 보니까 국내 판매가가 해외 다른 나라보다 비싼 것으로 나왔습니다.
이유가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5]
결국, 국내 스마트폰 판매가는 높지만, 이통사나 제조사의 보조금과 같은 마케팅 비용 통해서 실제 소비자가 구매하는 비용은 낮다는 건데요.
그렇다면 외국과 비교했을 때 국내 이동통신사의 마케팅 비용은 어느 정도 수준입니까?
[질문6]
마지막으로 우리나라는 지난 5월부터 이통사 대리점을 통하지 않고도 대형마트나 가전 매장, 편의점 등에서도 휴대전화를 판매할 수 있는 단말기 자급제를 시행했지만, 효과는 아직 미미한 상태인데요.
국내 스마트폰 가격 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높이고, 스마트폰 유통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김현우 [hmwy12@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