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그동안 사이버 공격에 대한 우려가 많았지만 정부 대책은 이번에도 한발 늦었습니다.
방통위, 국정원 등 여러 기관들이 대응에 나사고 있지만 제대로 된 컨트롤 타워가 없어 혼선을 빚고 있습니다.
고한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7일 오후 6시 40분, 방송통신위원회는 DDoS 공격 사실을 처음 확인합니다.
그러나 대국민 경보를 발령 한 건 6시간이 지난 8일 새벽 1시 반이었습니다.
웹사이트 장애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보통 1~2시간 정도 걸린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늑장 대응'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습니다.
근본적인 문제는 정보보호정책을 총괄적으로 담당했던 정보통신부가 없어진 뒤 DDoS 공격 등 사이버 공격에 대응할 컨트롤 타워가 사라졌다는 것입니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도 이같은 문제점을 인정했습니다.
[녹취: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전체적으로 봐서는 통합된 컨트롤 타워가 없기 때문에 문제라는 지적이 있고, 저 자신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현재 공공 부문에 대한 정보 보호는 행정안전부와 국가정보원이, 민간은 방통위와 한국정보보호진흥원이, 또 사이버범죄는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보안 산업 전반에 관한 사항은 지식경제부가 주관하고 있습니다.
DDoS 공격의 주 대상은 청와대 등 정부 기관.
그러나 공격에 사용된 이른바 좀비 PC는 99%가 개인용 PC입니다.
이렇게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종합적으로 걸려 있지만 담당 기관이 다르다 보니 피해 파악과 대책 마련에 혼선이 빚어질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평소 기업과 정부 기관이 사이버 공격에 대한 정보 공유를 할 수 있는 채널을 만들고, 무엇보다 정보보호 정책을 총괄할 기구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합니다.
YTN 고한석[hsgo@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그동안 사이버 공격에 대한 우려가 많았지만 정부 대책은 이번에도 한발 늦었습니다.
방통위, 국정원 등 여러 기관들이 대응에 나사고 있지만 제대로 된 컨트롤 타워가 없어 혼선을 빚고 있습니다.
고한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7일 오후 6시 40분, 방송통신위원회는 DDoS 공격 사실을 처음 확인합니다.
그러나 대국민 경보를 발령 한 건 6시간이 지난 8일 새벽 1시 반이었습니다.
웹사이트 장애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보통 1~2시간 정도 걸린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늑장 대응'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습니다.
근본적인 문제는 정보보호정책을 총괄적으로 담당했던 정보통신부가 없어진 뒤 DDoS 공격 등 사이버 공격에 대응할 컨트롤 타워가 사라졌다는 것입니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도 이같은 문제점을 인정했습니다.
[녹취: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전체적으로 봐서는 통합된 컨트롤 타워가 없기 때문에 문제라는 지적이 있고, 저 자신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현재 공공 부문에 대한 정보 보호는 행정안전부와 국가정보원이, 민간은 방통위와 한국정보보호진흥원이, 또 사이버범죄는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보안 산업 전반에 관한 사항은 지식경제부가 주관하고 있습니다.
DDoS 공격의 주 대상은 청와대 등 정부 기관.
그러나 공격에 사용된 이른바 좀비 PC는 99%가 개인용 PC입니다.
이렇게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종합적으로 걸려 있지만 담당 기관이 다르다 보니 피해 파악과 대책 마련에 혼선이 빚어질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평소 기업과 정부 기관이 사이버 공격에 대한 정보 공유를 할 수 있는 채널을 만들고, 무엇보다 정보보호 정책을 총괄할 기구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합니다.
YTN 고한석[hsgo@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