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민군합동조사단은 천안함이 두동강 날 당시 선체 왼쪽 아래에서 강한 수중폭발이 발생했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군 당국은 폭발과 관련한 물증을 확보하기 위해 침몰지점 부근에 대한 수중탐색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국방부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이정미 기자!
직접타격 보다는 버블제트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는 것 같군요?
[중계 리포트]
조사단은 천안함이 두동강날 당시 선체 밖에서 강한 수중폭발이 있었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왼쪽 아래에서 발생한 강한 폭발력이 위로 솟구치면서 천안함을 절단시켰다는 겁니다.
사실상, 직접타격 보다는 버블제트에 의한 폭발로 잠정 결론을 내린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김태영 국방부 장관도 선체에 뒤틀림 현상이 있다며 버블제트에 의한 폭발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를 입증할 결정적 증거물은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조사단은 컴퓨터를 이용해 감응형 어뢰 등 다양한 어뢰와 기뢰를 선체 인근에서 폭발시킨 뒤, 천안함 절단면과 비슷한 형태를 찾는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가상 폭발로 나온 선체 파괴 형태를 비파괴 장비로 촬영한 천안함 절단면과 비교하면, 원인이 된 폭발물이 무엇인지 압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국방부는 북한 연루설과 관련해서는 아직 결정적인 근거가 없다며, 가능성은 열어두고 있지만 예단해서는 안된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질문]
어제와 오늘 오전은 현지 날씨가 좋지 않아 수중탐색이 어려움을 겪었는데요.
작업이 재개됐나보죠?
[답변]
합동참모본부는 오늘 오후부터 천안함 침몰지점 부근에 대한 수중 정밀탐색작업을 다시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군 당국은 오늘 탐색작업에서 어뢰와 같은 수중무기 파편을 찾는 데 주력할 계획입니다.
조사단이 선체의 좌측 아래에서 수중폭발이 있었던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린 상황에서 폭발과 관련한 단서를 확보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를 위해 폭발지점 반경 500미터에 부근에는 살보함과 청해진함이 무인탐사정인 '해미래호' 등을 투입해 탐색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최초 폭발지점에서 함미와 함수가 각각 인근 해저로 떠밀려 내려갔기 때문에 선체의 이동경로에 대한 수색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기뢰탐색함 4척도 현장에 투입됐고, 해양조사선 장목호는 해저지형을 촬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수중폭발을 입증할 결정적 증거는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군은 수중 정밀탐색이 성과가 없을 경우, 선주와 어민들과 협의해 쌍끌이 저인망 어선을 활용하는 방안까지 세워놓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YTN 이정미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민군합동조사단은 천안함이 두동강 날 당시 선체 왼쪽 아래에서 강한 수중폭발이 발생했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군 당국은 폭발과 관련한 물증을 확보하기 위해 침몰지점 부근에 대한 수중탐색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국방부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이정미 기자!
직접타격 보다는 버블제트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는 것 같군요?
[중계 리포트]
조사단은 천안함이 두동강날 당시 선체 밖에서 강한 수중폭발이 있었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왼쪽 아래에서 발생한 강한 폭발력이 위로 솟구치면서 천안함을 절단시켰다는 겁니다.
사실상, 직접타격 보다는 버블제트에 의한 폭발로 잠정 결론을 내린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김태영 국방부 장관도 선체에 뒤틀림 현상이 있다며 버블제트에 의한 폭발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를 입증할 결정적 증거물은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조사단은 컴퓨터를 이용해 감응형 어뢰 등 다양한 어뢰와 기뢰를 선체 인근에서 폭발시킨 뒤, 천안함 절단면과 비슷한 형태를 찾는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가상 폭발로 나온 선체 파괴 형태를 비파괴 장비로 촬영한 천안함 절단면과 비교하면, 원인이 된 폭발물이 무엇인지 압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국방부는 북한 연루설과 관련해서는 아직 결정적인 근거가 없다며, 가능성은 열어두고 있지만 예단해서는 안된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질문]
어제와 오늘 오전은 현지 날씨가 좋지 않아 수중탐색이 어려움을 겪었는데요.
작업이 재개됐나보죠?
[답변]
합동참모본부는 오늘 오후부터 천안함 침몰지점 부근에 대한 수중 정밀탐색작업을 다시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군 당국은 오늘 탐색작업에서 어뢰와 같은 수중무기 파편을 찾는 데 주력할 계획입니다.
조사단이 선체의 좌측 아래에서 수중폭발이 있었던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린 상황에서 폭발과 관련한 단서를 확보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를 위해 폭발지점 반경 500미터에 부근에는 살보함과 청해진함이 무인탐사정인 '해미래호' 등을 투입해 탐색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최초 폭발지점에서 함미와 함수가 각각 인근 해저로 떠밀려 내려갔기 때문에 선체의 이동경로에 대한 수색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기뢰탐색함 4척도 현장에 투입됐고, 해양조사선 장목호는 해저지형을 촬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수중폭발을 입증할 결정적 증거는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군은 수중 정밀탐색이 성과가 없을 경우, 선주와 어민들과 협의해 쌍끌이 저인망 어선을 활용하는 방안까지 세워놓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YTN 이정미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