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전 세계 700만 재외동포는 이제 단순한 이민 공동체가 아니라, 한국의 외교와 경제는 물론 문화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하는 소중한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런 관점에서 동포사회의 역할과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짚어보려고 하는데요.
이재명 대통령 후보 시절 외교 안보 특보를 지내셨고 지금은 미주 민주 참여포럼(KAPAC)을 이끌고 계신 최광철 대표님과 함께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최 광 철 / 미주민주참여포럼(KAPAC) 대표 : 안녕하십니까.]
[앵커]
먼저 대통령 후보 시절 외교 안보 특보를 지내셨잖아요. 그때 어떤 역할을 하셨었나요.
[최광철 / 미주민주참여포럼(KAPAC) 대표 : 우리나라가 이제 여든 야든 조금 부족한 게 한미 동맹 72년 역사 속에서 외교가 중요한 나라, 또 대미 외교가 중요한 나라지만 미국과의 축적된 관계 속에서의 외교 역량은 조금 부족한 게 사실입니다. 적어도 미국은 현재 전 세계 패권국이고 또 자유민주국가의 표상과 같은 나라이기 때문에 제가 미국과는 항상 가깝게, 많은 부분을 협력하는 동맹 관계의 발전을 시키고 이제 강화하는 게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그런 측면에서 이제 많이 말씀을 드렸고요. 저는 이제 미국의 납세자고 또 미국에서 회사를 운영하고 또 미국에서 모범 시민을 지향하는 사람이지만 또 한편으로 변할 수 없는 거는 제 조국은 대한민국입니다. 그래서 두 나라가 아주 상호 협력 속에 발전하는 업그레이드 된 그런 한미 관계를 지향하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대해서 조언을 드리려고 노력했습니다.]
[앵커]
그러셨군요. 오늘 그런 얘기를 또 계속 해보려고 하는데요. 지금 현재 KAPAC, 그러니까 미주 민주참여포럼을 이끌고 계시잖아요. 참 오랫동안 이끌고 계신 걸로 알고 있는데요. 어떤 단체고 어떤 일을 하고 계신 건가요?
[최광철 / 미주민주참여포럼(KAPAC) 대표 : 한반도는 어떻게 보면 분단된 상황이잖아요. 이 분단 속에서 우리의 국민뿐만이 아니라 기업 국가 모든 속에서 어려움이 있어요. 그런데 미국이 특히 2017년 이후에 북한이 대규모 핵과 미사일 기술을 발전시킨 다음에 유엔 제재, 미국의 자체 제재, 재무부 제재, 국무부 제재 또 서방의 제재 속에서 한반도 이슈는 이제 미국이 핵심 당사국이 돼 버린 겁니다. 미국에서의 그 정책 결정은 국무부 국방부뿐만이 아니라 또 미 의회가 외교 부분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던 거예요. 그럼 저는 거꾸로 이게 역으로 생각해 보면 미국에서 살아가는 모범 시민이죠. 유권자죠. 또 저는 우리의 정책, 좋은 정책을 펼치는 연방 의원들을 후원하는 후원자로서 우리의 목소리를 내야겠다, 그래서 이제 10여 년 전에 정의 공정 평화 통일 민주 참여라는 인류 보편적인 가치를 기준으로 이제 KAPAC이 창립됐고요. 현재 1천여 명의 회원으로 성장이 됐는데 한미 관계가 더욱더 발전되고 영원한 변하지 않는 그런 모습으로 발전시키고 싶다는 생각 속에서 KAPAC이 탄생했습니다. [앵커]
그러셨군요. 대표께서는 평소에 '해외 동포를 소중한 국가적 자산이다' 이렇게 강조해 오셨었잖아요. 이게 어떤 의미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