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세계 여러 나라가 국민이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홀로 남지 않도록 더불어 살아가는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빠르게 늘고 있는 고령층과 1인 가구 속에서 고독사 문제를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현실에 직면해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고독사 발생 현황과 대처 방안은 무엇인지 조미정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전문위원과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먼저 우리가 이제 고독사, 고독사 말은 많이 하지만 정확한 개념을 잘 모르고 있거든요. 고독사라는 걸 정확하게 뭐라고 말하는 건가요?
[조미정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전문위원]
네 일반적으로 고독사는 문자 뜻으로 그대로 해석해서 보면 외로울 고, 홀로 독, 죽을 사를 합친 그 뜻으로 모아서 이제 얘기하면 '혼자서 외롭게 죽음을 맞이하는 경우'로 지칭을 하고 있고요. 저희가 2020년도에 고독사 예방법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제정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법상에서 제정되고 있는 내용은 가족이나 친척들로부터 고립된 채로 혼자서 생활을 하다가 자살이라든지 병사로 죽은, 임종을 맞이한 경우를 보통 우리가 고독사라고 이렇게 얘기를 합니다.
[앵커]
실제 우리나라에서 고독사는 얼마나 많이 발생하고 있을까요?
[조미정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전문위원]
2020년도에 고독사 예방법이 제정되면서 5년에 한 번씩 고독사 사망자 실태 조사라는 것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22년도에 첫 조사가 이루어졌고요. 그리고 작년 하반기 24년도에 두 번째 조사가 이루어졌습니다.
작년 조사 결과를 조금 살펴보면 연령별로는 60대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요. 그리고 그다음으로 50대, 40대, 70대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에서 문제는 5,60대 남성이 전체 사망자 수의 53.9%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