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금리 역전 영향은?…'재정·통화·금융' 수장 비상회의

현장생중계
현장생중계
2022.07.28. 오전 07:33
글자크기설정
[추경호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한미 간 정책 금리가 25BP 역전되었습니다. 파월 미 연준 의장은 향후 추가적인 큰 폭 인상이 적절할 수 있으나 인상 폭은 앞으로의 경제지표에 따라 매 회의마다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미 연준의 결정은 대체로 시장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금일 새벽 국제금융시장이 금번 FOMC 결과를 무리 없이 소화함에 따라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도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미국 금리 인상으로 인한 한미 정책금리 역전으로 일각에서는 외국인 자금 유출 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그러나 과거 3차례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기에 한미 간 정책 금리는 모두 역전현상이 있었지만 미국 금리 인상 기간 전체로 볼 때 오히려 국내 외국인 증권 투자자금은 순유입을 유지한 바 있습니다.

우리 경제 펀더멘털과 글로벌 이벤트에 대한 적절한 대응 등이 자본 유출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따라서 정부와 한국은행 등 관계기관은 상시적으로 우리 경제 전반의 건전성을 점검, 강화하고 글로벌 리스크 요인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 역량을 확충하는 한편 금융시장 전반에 대한 혁신 노력에도 총력을 다하겠습니다.

우리 경제의 대외 건전성을 살펴보면 견질한 경제성장과 재정 건전성을 바탕으로 역대 최고 수준의 국가신용등급을 유지하는 가운데 충분한 수준의 외화 보유액과 다층적 유동성 공급망 체계 등을 통해 위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안전판도 충분히 갖추고 있습니다.

7월 들어 외국인 증권 자금이 주식, 채권 모두 순유입세를 기록하고 있는 점이 우리 경제의 펀더멘탈이 튼튼함을 방증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정부는 높아진 불확실성에 대응하여 긴장의 끈을 한시도 놓지 않겠습니다.

금리 상승 가속화에 따른 채권시장 변동성 확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이미 마련한 회사채 CP 시장 안정 조치를 차질없이 시행하는 한편 채권시장이 과도하게 반응할 경우 정부의 긴급 국채 조기 상환, 한국은행의 국고채 환수 매입 등을 적절한 시점에 추진하겠습니다.

나아가 금융시장이 펀더멘털을 넘어 과도한 쏠림 현상을 보일 경우 과거 금융위기 시 활용하였던 금융 부문 시장 안정 조치들을 즉시 가동할 수 있도록 현 상황에서의 유동성과 발동 기준 개선 필요성 등을 재점검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