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자던 거인이 깨어났다"...엔비디아 시총 169조원 날려버린 구글 [지금이뉴스]

"잠자던 거인이 깨어났다"...엔비디아 시총 169조원 날려버린 구글 [지금이뉴스]

2025.11.26. 오후 4:3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글로벌 인공지능(AI) 경쟁에서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아온 구글이 전방위 추격전에 나섰습니다.

"잠자던 거인이 완전히 깨어났다"(블룸버그)는 평도 나왔습니다.

25일(현지시간) 블룸버그와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구글이 이번 달 내놓은 최신 AI 챗봇 `제미나이3`는 추론 성능과 코딩 실력 등에서 AI 챗봇 강자인 오픈AI의 `챗GPT 5.1`보다 훨씬 낫다는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구글은 AI 이미지 생성·편집 도구 `나노 바나나`의 새 버전도 내놨습니다.

`나노 바나나`는 현실적 이미지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주는 성능이 탁월해 인터넷에서 `내 사진으로 피규어(모형) 만들기` 유행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구글은 AI 반도체 분야에서는 엔비디아의 아성에 도전장을 냈습니다.

페이스북·인스타그램 운영사인 메타플랫폼(메타)은 구글의 AI 칩인 `TPU`(텐서처리장치) 수십억달러어치를 구매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최근 알려졌습니다.

앞서 구글은 지난달 AI 챗봇 `클로드`를 운영하는 엔스로픽에 수백억달러 규모의 TPU를 제공하는 계약을 성사한 바 있습니다.

TPU는 AI 연산에 특화한 구글 자체 반도체로, 2015년에 출시됐지만 지금껏 엔비디아의 GPU(그래픽처리장치) 열풍에 밀려 AI 업계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했습니다.

이 때문에 실제로 메타가 구글 TPU를 도입할 경우 TPU의 기술력 입증은 물론 구글을 엔비디아의 `대항마`로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업계 관계자들은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번 달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의 주가는 15% 올랐으며, 현재 시가총액은 3조9천억 달러로 4조달러 고지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한국 투자자들은 최근 한 달 사이 알파벳 주식을 5억6천만달러(약 8천200억원)어치 순매수해 엔비디아, 메타에 이어 국내 순매수액이 세 번째로 높은 외국 주식으로 파악됩니다.

메타의 구글 AI 칩 도입설이 알려진 25일 엔비디아의 주가는 약 2.6% 하락했습니다.

이날 시총이 1천150억달러(약 168조6천억원) 날아갔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전했습니다.

AI 업계 일각에선 최근 전열을 가다듬은 구글이 오픈AI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도 나옵니다.

미국 금융투자 업계의 한 관계자는 FT와 인터뷰에서 구글 제미나이3의 성공에 관해 "딥시크(중국의 가성비 AI)가 불러왔던 충격보다 더 미묘하면서도 중요한 사건"이라고 평하면서 "이제 시장은 구글이 명확한 AI 선두업체라는 관점을 수용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오디오ㅣAI앵커
제작ㅣ이 선
출처ㅣX@Google
출처ㅣX@GeminiApp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