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30일 부산 김해공항 공군 기지 내 접견장에서 정상회담을 하게 되면서 중국 지도자의 전례없는 '해외 군사기지 내 정상회담'이라는 외신의 보도가 나왔습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현지시간 29일 시 주석과 트럼프 대통령이 보안을 이유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지에서 약 85km 떨어진 부산 김해공항 공군기지 내 의전실인 나래마루에서 정상회담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어 SCMP는 "중국 지도자들이 미국의 공군 기지를 거쳐 주요 회의에 참석한 경우는 많았으나 군사기지 내에서 열리는 정상회담에 참석한 전례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후진타오 전 국가주석은 미국 국빈 방문을 위해 2011년 워싱턴 인근의 앤드루스 공군 기지에 착륙했었고 장쩌민 전 주석도 2002년 휴스턴 인근의 엘링턴 필드 공동 예비 기지를 이용했습니다.
SCMP는 "다른 세계 지도자들은 그렇지 않다"며 트럼프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8월 미국 알래스카 앵커리지의 엘멘도프 리처드슨 합동 기지에서 회담을 가졌던 사례를 예로 들었습니다.
이어 미중 정상회담 장소가 APEC 정상회의 개최지 경주가 아닌 부산 김해공항 공군 기지가 된 이유에 대해서는 전문가와 한국 언론 보도를 인용해 "안전성이 높은 보안 시설이기 때문"이라고 전했습니다.
강준영 한국외대 중국학과 교수는 SCMP에 "공군기지는 일반인의 출입이 어려운 고도의 보안시설이어서 안전성이 높다"면서 "중국이나 미국에 대한 (일부 한국인의) 반감도 회담 장소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일반인 접근이 불가한 보안 시설인 나래마루는 2019년 한국과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정상회담 때도 접견실로 쓰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회담 테이블에 함께 앉는 것은 2019년 6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이후 6년 4개월 여 만입니다.
양측은 지난 4월부터 고율 관세와 무역 통제 조치를 주고받으며 대립각을 세웠으나, 최근 다섯 차례의 고위급 무역회담을 거쳐 현재는 '일시 휴전' 상태입니다.
이달 25∼26일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5차 고위급 무역회담 이후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 유예와 미국의 100% 추가관세 보류에 양측이 합의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은 만큼 양측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확전 자제로 의견을 모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미중은 또 미국의 대중 '펜타닐 관세' 10%포인트 인하와 중국의 미국산 대두(콩) 수입 재개를 맞교환하는 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상호 부과 중인 선박 입항 수수료 인하나 미국의 소프트웨어 수출 통제 완화 등도 논의 가능성이 있는 의제로 꼽히고 있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미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현지시간 29일 시 주석과 트럼프 대통령이 보안을 이유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지에서 약 85km 떨어진 부산 김해공항 공군기지 내 의전실인 나래마루에서 정상회담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어 SCMP는 "중국 지도자들이 미국의 공군 기지를 거쳐 주요 회의에 참석한 경우는 많았으나 군사기지 내에서 열리는 정상회담에 참석한 전례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후진타오 전 국가주석은 미국 국빈 방문을 위해 2011년 워싱턴 인근의 앤드루스 공군 기지에 착륙했었고 장쩌민 전 주석도 2002년 휴스턴 인근의 엘링턴 필드 공동 예비 기지를 이용했습니다.
SCMP는 "다른 세계 지도자들은 그렇지 않다"며 트럼프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8월 미국 알래스카 앵커리지의 엘멘도프 리처드슨 합동 기지에서 회담을 가졌던 사례를 예로 들었습니다.
이어 미중 정상회담 장소가 APEC 정상회의 개최지 경주가 아닌 부산 김해공항 공군 기지가 된 이유에 대해서는 전문가와 한국 언론 보도를 인용해 "안전성이 높은 보안 시설이기 때문"이라고 전했습니다.
강준영 한국외대 중국학과 교수는 SCMP에 "공군기지는 일반인의 출입이 어려운 고도의 보안시설이어서 안전성이 높다"면서 "중국이나 미국에 대한 (일부 한국인의) 반감도 회담 장소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일반인 접근이 불가한 보안 시설인 나래마루는 2019년 한국과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정상회담 때도 접견실로 쓰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회담 테이블에 함께 앉는 것은 2019년 6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이후 6년 4개월 여 만입니다.
양측은 지난 4월부터 고율 관세와 무역 통제 조치를 주고받으며 대립각을 세웠으나, 최근 다섯 차례의 고위급 무역회담을 거쳐 현재는 '일시 휴전' 상태입니다.
이달 25∼26일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5차 고위급 무역회담 이후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 유예와 미국의 100% 추가관세 보류에 양측이 합의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은 만큼 양측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확전 자제로 의견을 모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미중은 또 미국의 대중 '펜타닐 관세' 10%포인트 인하와 중국의 미국산 대두(콩) 수입 재개를 맞교환하는 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상호 부과 중인 선박 입항 수수료 인하나 미국의 소프트웨어 수출 통제 완화 등도 논의 가능성이 있는 의제로 꼽히고 있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미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