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노믹스 때와 상황 다르다"...일본 금리까지 파고드는 미국 [지금이뉴스]

"아베노믹스 때와 상황 다르다"...일본 금리까지 파고드는 미국 [지금이뉴스]

2025.10.29. 오후 1:1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엔화 약세(엔저) 현상을 지적하며 일본 당국에 사실상 기준금리 인상을 촉구했습니다.

2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베선트 장관은 지난 27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미일 재무장관 회담에서 가타야마 사쓰키 일본 재무상에게 건전한 통화정책 수립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미 재무부가 전날 밝혔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아베노믹스가 도입된 지 12년이 지나면서 상황은 크게 변하고 있다"며 물가를 안정시키고 과도한 환율변동을 막기 위해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했습니다.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 정권의 아베노믹스는 엔화 강세와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하락) 탈피를 목표로 한 양적 완화 정책입니다.

당시 일본 경제 급선무는 디플레이션 탈출이었지만, 지금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에 대응해야 하는 시점이기 때문에 엔화 약세를 용인해서는 안 된다고 베선트 장관은 강조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 8월 블룸버그통신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 문제를 제어할 필요가 있는 일본은행이 뒷짐 지고 있다"고 비판하는 등 일본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을 압박하는 발언을 계속해왔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일본을 떠나며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도 "(일본) 정부가 일본은행에 정책 여지를 주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것이 인플레이션 기대치를 안정화하고 과도한 환율 변동을 피하는 열쇠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미국 행정부는 오랫동안 저금리 정책을 이어온 일본이 자동차 등 수출기업에 유리하도록 엔화 약세를 유도해왔다고 의심합니다.

미국 제조업 부활을 주창하는 트럼프 정권으로서는 주요 교역국인 일본 통화의 과도한 약세를 간과할 수 없는 사정이 있다고 닛케이는 설명했습니다.

가타야마 재무상은 전날 취재진에 "일본 통화정책에 대한 직접적인 논의는 없었다"며 일반적인 관점에서만 대화했다고 말했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