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한국은행이 지난 3분기 우리나라 실질 GDP, 국내총생산을 발표했는데요.
전 분기보다 1.2% 성장했습니다.
1년 반 만에 가장 높고, 한은 전망치보다 0.1%p 높습니다.
올해 1분기 -0.2% 역성장을 보인 우리 경제가 지난 2분기 0.7% 성장으로 반등했고 이어 성장세를 확대한 겁니다.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1.3% 늘었습니다.
3년 만의 최대폭 상승입니다.
정부소비도 1.2% 늘어 2년 9개월 만의 최고 폭 상승입니다.
설비투자가 2.4%, 수출이 1.5% 늘었습니다.
이에 따라 성장 기여도를 보면 내수가 1.1%p였고, 순수출이 0.1%p였습니다.
3분기 성장세 확대에 대해 한은은 수출이 지난 2분기 높은 증가율에도 불구하고 꺾이지 않고 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양호한 흐름을 지속한 점을 우선적으로 꼽았습니다.
이어 정부 소비쿠폰과 스마트폰과 전기차 등 신제품 출시에 따라 민간 소비가 확대된 점을 꼽았습니다.
여기에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설비투자가 양호했고, 그동안 성장률의 발목을 잡았던 건설 분야가 중립적 영향을 끼친 점을 꼽았습니다.
앞으로 전망에 대해 한은은 "4분기 성장률이 -0.1∼0.3%면 올해 연간 성장률 1%가 가능하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대미 무역 협상에 따른 자동차 등의 수출 흐름과 2차 소비쿠폰 효과, 안전사고로 공사중단이 잇따른 건설 분야 불확실성 등이 변수라고 밝혔습니다.
3분기 실질 국내총소득, GDI 증가율은 0.7%로, 실질 GDP 성장률 1.2%를 밑돌아 이미 교역 조건이 나빠진 영향이 반영됐습니다.
지금까지 YTN 이승은입니다.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전 분기보다 1.2% 성장했습니다.
1년 반 만에 가장 높고, 한은 전망치보다 0.1%p 높습니다.
올해 1분기 -0.2% 역성장을 보인 우리 경제가 지난 2분기 0.7% 성장으로 반등했고 이어 성장세를 확대한 겁니다.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1.3% 늘었습니다.
3년 만의 최대폭 상승입니다.
정부소비도 1.2% 늘어 2년 9개월 만의 최고 폭 상승입니다.
설비투자가 2.4%, 수출이 1.5% 늘었습니다.
이에 따라 성장 기여도를 보면 내수가 1.1%p였고, 순수출이 0.1%p였습니다.
3분기 성장세 확대에 대해 한은은 수출이 지난 2분기 높은 증가율에도 불구하고 꺾이지 않고 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양호한 흐름을 지속한 점을 우선적으로 꼽았습니다.
이어 정부 소비쿠폰과 스마트폰과 전기차 등 신제품 출시에 따라 민간 소비가 확대된 점을 꼽았습니다.
여기에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설비투자가 양호했고, 그동안 성장률의 발목을 잡았던 건설 분야가 중립적 영향을 끼친 점을 꼽았습니다.
앞으로 전망에 대해 한은은 "4분기 성장률이 -0.1∼0.3%면 올해 연간 성장률 1%가 가능하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대미 무역 협상에 따른 자동차 등의 수출 흐름과 2차 소비쿠폰 효과, 안전사고로 공사중단이 잇따른 건설 분야 불확실성 등이 변수라고 밝혔습니다.
3분기 실질 국내총소득, GDI 증가율은 0.7%로, 실질 GDP 성장률 1.2%를 밑돌아 이미 교역 조건이 나빠진 영향이 반영됐습니다.
지금까지 YTN 이승은입니다.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자막뉴스] 3년 만의 최대폭 상승 ...뚜렷한 성장세 '청신호'](https://image.ytn.co.kr/general/jpg/2025/1028/202510281154589952_t.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