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캄보디아에서 보이스피싱 등 범죄에 연루돼 구금된 한국인 송환을 위해 파견된 정부 합동대응팀이 현지 방문 첫날부터 캄보디아 정부의 불만 표출을 접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중앙일보 단독보도에 따르면, 지난 15일 캄보디아 프놈펜을 방문한 합동대응팀은 훈 마네트 총리와 써소카 부총리 등 정부 최고위 인사를 만나 구금된 한국인 64명의 조기 송환을 요청했습니다.
그러나 이 자리에서 한 캄보디아 고위 인사는 "양국 국민간 국제결혼도 많아서 한국을 사돈의 나라로 생각한다"며, "한국에서 캄보디아인을 상대로 범죄가 발생해도 양국 관계의 중요성을 생각해 외부에 잘 공개하지 않아 왔다"고 말한 거로 전해졌습니다.
이번 사태에 대해 캄보디아를 비판하는 한국 정부와 언론에 서운함을 드러낸 것입니다.
이 관계자는 또 “중국인이 한국인을 상대로 저지른 범죄는 캄보디아 입장에선 외국인 간 범죄지만, 자국은 신속히 대응하고 검거까지 했다”며 “그런데 왜 우리가 가장 큰 비난을 받아야 하느냐”고 불만을 토로했습니다.
대응팀 관계자는 “캄보디아 측이 이번 사안을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걸 1시간 넘게 입장을 설명했다”고 밝혔습니다.
방문 일정 마지막날인 지난 18일, 구금된 한국인 64명 송환 현장에서도 캄보디아 정부의 적극적인 협조가 이뤄졌습니다.
현지 최고 책임자와 정복 차림의 공무원 100여 명이 도열해 송환 과정을 관리했습니다.
다만 우리 정부가 제안한 ‘코리안데스크’(한-캄 경찰 공조 조직) 설치는 캄보디아 측이 끝내 거부했습니다.
대신 양국은 합동대응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송환 및 정보 교환을 이어가기로 합의했습니다.
캄보디아가 코리안데스크 설치를 거부한 배경에는 한국 정부가 자국 반정부 인사의 난민 신청을 받아들인 데 대한 반감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중앙일보 단독보도에 따르면, 지난 15일 캄보디아 프놈펜을 방문한 합동대응팀은 훈 마네트 총리와 써소카 부총리 등 정부 최고위 인사를 만나 구금된 한국인 64명의 조기 송환을 요청했습니다.
그러나 이 자리에서 한 캄보디아 고위 인사는 "양국 국민간 국제결혼도 많아서 한국을 사돈의 나라로 생각한다"며, "한국에서 캄보디아인을 상대로 범죄가 발생해도 양국 관계의 중요성을 생각해 외부에 잘 공개하지 않아 왔다"고 말한 거로 전해졌습니다.
이번 사태에 대해 캄보디아를 비판하는 한국 정부와 언론에 서운함을 드러낸 것입니다.
이 관계자는 또 “중국인이 한국인을 상대로 저지른 범죄는 캄보디아 입장에선 외국인 간 범죄지만, 자국은 신속히 대응하고 검거까지 했다”며 “그런데 왜 우리가 가장 큰 비난을 받아야 하느냐”고 불만을 토로했습니다.
대응팀 관계자는 “캄보디아 측이 이번 사안을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걸 1시간 넘게 입장을 설명했다”고 밝혔습니다.
방문 일정 마지막날인 지난 18일, 구금된 한국인 64명 송환 현장에서도 캄보디아 정부의 적극적인 협조가 이뤄졌습니다.
현지 최고 책임자와 정복 차림의 공무원 100여 명이 도열해 송환 과정을 관리했습니다.
다만 우리 정부가 제안한 ‘코리안데스크’(한-캄 경찰 공조 조직) 설치는 캄보디아 측이 끝내 거부했습니다.
대신 양국은 합동대응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송환 및 정보 교환을 이어가기로 합의했습니다.
캄보디아가 코리안데스크 설치를 거부한 배경에는 한국 정부가 자국 반정부 인사의 난민 신청을 받아들인 데 대한 반감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