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경주의 천년 문화유산 첨성대에서 열린 미디어아트 점등식(미디어 파사드)이 시스템 오류로 개막 첫날부터 중단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20일 밤 첨성대 외벽에는 ‘종료 중’, ‘디스플레이 모드’ 등 알 수 없는 글자 영상가 반복적으로 표시됐습니다.
이날 오후 6시 30분 열린 점등식 개막 상영 직후 시스템이 다운되면서, 첨성대 외벽엔 컴퓨터 오류 화면만 반복적으로 떴습니다.
2차 상영을 기다리던 500여 명의 시민과 외국인 관람객들은 “미디어아트 장비 오류로 인해 상영이 어렵다”는 안내 방송이 나오자 추운 날씨 속에 허탈하게 발길을 돌려야 했습니다.
이번 미디어아트는 경주시와 국가유산청이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앞두고 첨성대를 배경으로 신라의 천문학과 황금문화를 소개하기 위해 제작한 약 7분짜리 영상(프로젝션 매핑 기법)입니다.
영상 제작비용 4억원을 포함해 총 10억원 가까운 예산을 들인 이번 미디어아트는 APEC이 끝나는 11월1일까지 매일 5회 상영할 예정이었습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리허설 때는 문제가 없었지만, 점등식 행사에 마이크 시설을 추가하면서 전선 과부하로 합선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복구를 시도했으나 일부 장비가 손상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현장 실무를 담당하는 경주시 측은 “21일 중으로 장비를 교체해 정상 상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사진출처ㅣ중앙일보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0일 밤 첨성대 외벽에는 ‘종료 중’, ‘디스플레이 모드’ 등 알 수 없는 글자 영상가 반복적으로 표시됐습니다.
이날 오후 6시 30분 열린 점등식 개막 상영 직후 시스템이 다운되면서, 첨성대 외벽엔 컴퓨터 오류 화면만 반복적으로 떴습니다.
2차 상영을 기다리던 500여 명의 시민과 외국인 관람객들은 “미디어아트 장비 오류로 인해 상영이 어렵다”는 안내 방송이 나오자 추운 날씨 속에 허탈하게 발길을 돌려야 했습니다.
이번 미디어아트는 경주시와 국가유산청이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앞두고 첨성대를 배경으로 신라의 천문학과 황금문화를 소개하기 위해 제작한 약 7분짜리 영상(프로젝션 매핑 기법)입니다.
영상 제작비용 4억원을 포함해 총 10억원 가까운 예산을 들인 이번 미디어아트는 APEC이 끝나는 11월1일까지 매일 5회 상영할 예정이었습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리허설 때는 문제가 없었지만, 점등식 행사에 마이크 시설을 추가하면서 전선 과부하로 합선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복구를 시도했으나 일부 장비가 손상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현장 실무를 담당하는 경주시 측은 “21일 중으로 장비를 교체해 정상 상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사진출처ㅣ중앙일보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