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을 중심으로 활동해온 대규모 사기범죄단지에서 조직 구성원들이 짐을 옮기며 집단 이주를 시도하고 있다는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다수의 텔레그램 채널에 게시된 사진과 영상에는 컴퓨터 모니터와 사무기기, 박스가 승합차와 화물차에 실리는 장면이 담겼고, 게시물에는 “구역 내 회사들이 긴급 대피를 준비하고 있다”는 설명이 덧붙여졌습니다.
경찰 관계자들은 언론과 수사망의 주목이 집중되자 조직들이 이전을 준비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일부 관측자는 단순한 이전이 아니라 새로운 거점 지역 관료와의 사전 합의나 금품 제공을 통해 ‘정지 작업’을 마쳐놓았을 가능성도 제기합니다.
범죄조직이 향할 수 있는 후보지는 라오스와 태국, 베트남 등 기존에 유사 조직이 활동해온 동남아시아 국가들입니다.
이미 태국 파타야 등지에서 캄보디아 조직과 유사한 방식으로 고수익 일자리라는 명목으로 사람을 모집해 보이스피싱을 일삼던 단체들이 적발된 바 있어, 캄보디아 조직이 이동하더라도 현지에 동류 조직 네트워크가 존재해 자리를 잡기 수월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텔레그램 채널 운영자와 일부 수사 경험자는 “범죄 조직의 구성원 상당수가 고수익을 좇아 이동해왔다”며 “캄보디아에서 문제가 불거지자 이미 상당수는 다른 지역으로 흩어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온라인에는 ‘월 수천만 원’ ‘해외 취업’ ‘텔레마케팅(TM) 업무’ 등의 문구로 사람을 유인하는 모집 글이 계속 올라오고 있습니다.
문제는 조직의 집단 이동이 현실화되면 감금된 피해자들과 미확인 실종자들의 구조가 대폭 어려워진다는 점입니다.
수사 당국은 현지에 한인 사건 전담 경찰관, 이른바 ‘코리안 데스크’를 설치하는 등 대응을 준비하고 있지만, 조직이 국경을 넘으면 단일 국가 차원의 수사로는 추적과 구조가 제한됩니다.
이에 따라 정부 차원의 외교 채널 가동과 다자 공조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단순한 수사 협조를 넘어 ODA 등 경제·안보 협력 틀을 활용해 캄보디아 측의 법 집행 의지를 제고하고, 동남아 국가들과의 정보 공유를 체계화해야 한다고 제언합니다.
경찰은 인터폴과의 연계, 피의자 신원 및 지문 정보 공유, 적색수배 발부 등을 통해 해외에 흩어진 피의자 추적에 나섰습니다. 다만 수사 인력과 영사 지원 역량만으로는 광범위한 이동을 막기 어려워 외교부와의 긴밀한 공조가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많습니다.
오디오 ㅣ AI 앵커
제작 ㅣ 최지혜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다수의 텔레그램 채널에 게시된 사진과 영상에는 컴퓨터 모니터와 사무기기, 박스가 승합차와 화물차에 실리는 장면이 담겼고, 게시물에는 “구역 내 회사들이 긴급 대피를 준비하고 있다”는 설명이 덧붙여졌습니다.
경찰 관계자들은 언론과 수사망의 주목이 집중되자 조직들이 이전을 준비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일부 관측자는 단순한 이전이 아니라 새로운 거점 지역 관료와의 사전 합의나 금품 제공을 통해 ‘정지 작업’을 마쳐놓았을 가능성도 제기합니다.
범죄조직이 향할 수 있는 후보지는 라오스와 태국, 베트남 등 기존에 유사 조직이 활동해온 동남아시아 국가들입니다.
이미 태국 파타야 등지에서 캄보디아 조직과 유사한 방식으로 고수익 일자리라는 명목으로 사람을 모집해 보이스피싱을 일삼던 단체들이 적발된 바 있어, 캄보디아 조직이 이동하더라도 현지에 동류 조직 네트워크가 존재해 자리를 잡기 수월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텔레그램 채널 운영자와 일부 수사 경험자는 “범죄 조직의 구성원 상당수가 고수익을 좇아 이동해왔다”며 “캄보디아에서 문제가 불거지자 이미 상당수는 다른 지역으로 흩어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온라인에는 ‘월 수천만 원’ ‘해외 취업’ ‘텔레마케팅(TM) 업무’ 등의 문구로 사람을 유인하는 모집 글이 계속 올라오고 있습니다.
문제는 조직의 집단 이동이 현실화되면 감금된 피해자들과 미확인 실종자들의 구조가 대폭 어려워진다는 점입니다.
수사 당국은 현지에 한인 사건 전담 경찰관, 이른바 ‘코리안 데스크’를 설치하는 등 대응을 준비하고 있지만, 조직이 국경을 넘으면 단일 국가 차원의 수사로는 추적과 구조가 제한됩니다.
이에 따라 정부 차원의 외교 채널 가동과 다자 공조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단순한 수사 협조를 넘어 ODA 등 경제·안보 협력 틀을 활용해 캄보디아 측의 법 집행 의지를 제고하고, 동남아 국가들과의 정보 공유를 체계화해야 한다고 제언합니다.
경찰은 인터폴과의 연계, 피의자 신원 및 지문 정보 공유, 적색수배 발부 등을 통해 해외에 흩어진 피의자 추적에 나섰습니다. 다만 수사 인력과 영사 지원 역량만으로는 광범위한 이동을 막기 어려워 외교부와의 긴밀한 공조가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많습니다.
오디오 ㅣ AI 앵커
제작 ㅣ 최지혜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