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서울 초고가 주거지로 꼽히는 롯데월드타워 시그니엘 레지던스가 최근 급격한 시세 하락과 이미지 악화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일부 집주인들은 수백만 원의 관리비를 감수하면서도 공실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회계사 출신 유튜버 ‘터보832’는 최근 영상을 통해 시그니엘의 현황을 전하며, 한 소유주 A씨의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A씨는 3년 전 전용 181㎡(90A 타입)를 약 56억 원에 매입했지만, 지난 1년간 임차인을 구하지 못해 매달 약 320만~330만 원의 관리비를 부담하고 있습니다.
월세를 낮추기보다 공실 유지를 택한 결과, 놓친 임대수익만 2~3억 원, 관리비도 연 4000~6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문제는 단순한 시세 하락을 넘어 ‘이미지 붕괴’에 있다는 게 이 유튜버의 분석입니다.
터보832는 “최근 3년간 시그니엘의 매매가가 약 20% 하락했다”며 "전청조 사건의 영향이 크다고 본다. 고급 브랜드, 고급 주거지의 '지위재' 특성이 무너지면서 초자산가 수요가 이탈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시그니엘 전용 190㎡는 2022년 11월 80억 원(47층)에서 올해 4월 60억5천만 원(50층)으로 20억 원 이상 떨어졌고, 전용 205㎡ 역시 2022년 5월 78억 원에서 올해 3월 69억8천5백만 원으로 하락했습니다.
특히 펜싱선수 남현희의 전 약혼자 전청조 씨가 시그니엘을 거주지로 내세우며 ‘재벌 행세’를 하다 사기 혐의로 구속된 사건은 이미지 타격의 결정적 계기가 됐다는 평가입니다.
이후 코인 사기범 등 각종 범죄자가 해당 레지던스를 배경으로 신뢰를 얻는 수법이 이어지면서,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사기꾼의 성지”라는 오명이 붙기도 했습니다.
입주민들 사이에서는 “고급 주택에 걸맞은 입주자 검증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일부는 “미국처럼 입주 전 범죄 전력과 신용 상태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일부 집주인들은 수백만 원의 관리비를 감수하면서도 공실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회계사 출신 유튜버 ‘터보832’는 최근 영상을 통해 시그니엘의 현황을 전하며, 한 소유주 A씨의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A씨는 3년 전 전용 181㎡(90A 타입)를 약 56억 원에 매입했지만, 지난 1년간 임차인을 구하지 못해 매달 약 320만~330만 원의 관리비를 부담하고 있습니다.
월세를 낮추기보다 공실 유지를 택한 결과, 놓친 임대수익만 2~3억 원, 관리비도 연 4000~6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문제는 단순한 시세 하락을 넘어 ‘이미지 붕괴’에 있다는 게 이 유튜버의 분석입니다.
터보832는 “최근 3년간 시그니엘의 매매가가 약 20% 하락했다”며 "전청조 사건의 영향이 크다고 본다. 고급 브랜드, 고급 주거지의 '지위재' 특성이 무너지면서 초자산가 수요가 이탈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시그니엘 전용 190㎡는 2022년 11월 80억 원(47층)에서 올해 4월 60억5천만 원(50층)으로 20억 원 이상 떨어졌고, 전용 205㎡ 역시 2022년 5월 78억 원에서 올해 3월 69억8천5백만 원으로 하락했습니다.
특히 펜싱선수 남현희의 전 약혼자 전청조 씨가 시그니엘을 거주지로 내세우며 ‘재벌 행세’를 하다 사기 혐의로 구속된 사건은 이미지 타격의 결정적 계기가 됐다는 평가입니다.
이후 코인 사기범 등 각종 범죄자가 해당 레지던스를 배경으로 신뢰를 얻는 수법이 이어지면서,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사기꾼의 성지”라는 오명이 붙기도 했습니다.
입주민들 사이에서는 “고급 주택에 걸맞은 입주자 검증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일부는 “미국처럼 입주 전 범죄 전력과 신용 상태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