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한국의 대미 투자 규모를 기존의 3천5백억 달러에서 더 늘릴 것을 요구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들을 인용해 러트닉 장관이 한국의 투자 규모를 소폭 증액해 일본이 약속한 5천5백억 달러에 좀 더 가까워지도록 조정하는 방안을 요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때문에 한미 무역협상이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 있다고 전했습니다.
러트닉 장관은 또 투자금 상당액은 대출이 아닌 현금으로 받기를 원한다는 뜻을 비공개로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이 일본과 같은 규모의 금액을 투자하긴 어렵더라도, 미·일 무역협정 조건의 상당 부분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러트닉 장관의 이런 요구는 만약 한국이 일본보다 완화된 조건으로 협정을 맺으면 법적 구속력이 없는 미·일 협정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백악관 관계자는 월스트리트저널에 "한국과의 협정을 세밀하게 조정 중이지만, 이미 합의된 내용에서 '극적인 이탈'을 요구하는 건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기자ㅣ유투권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들을 인용해 러트닉 장관이 한국의 투자 규모를 소폭 증액해 일본이 약속한 5천5백억 달러에 좀 더 가까워지도록 조정하는 방안을 요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때문에 한미 무역협상이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 있다고 전했습니다.
러트닉 장관은 또 투자금 상당액은 대출이 아닌 현금으로 받기를 원한다는 뜻을 비공개로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이 일본과 같은 규모의 금액을 투자하긴 어렵더라도, 미·일 무역협정 조건의 상당 부분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러트닉 장관의 이런 요구는 만약 한국이 일본보다 완화된 조건으로 협정을 맺으면 법적 구속력이 없는 미·일 협정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백악관 관계자는 월스트리트저널에 "한국과의 협정을 세밀하게 조정 중이지만, 이미 합의된 내용에서 '극적인 이탈'을 요구하는 건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기자ㅣ유투권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