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연금, 줄줄이 고갈...심각한 전망 발표 [지금이뉴스]

공적연금, 줄줄이 고갈...심각한 전망 발표 [지금이뉴스]

2025.09.03. 오후 3:3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등 주요 공적연금·보험이 40년 내 순차적으로 고갈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특히 건강보험 재정은 8년 안에, 노인장기요양보험은 5년 내 바닥을 드러낼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기획재정부는 3일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제3차 장기재정전망`(2025~2065)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저출생과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로 인해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등 4대 공적연금이 조기 고갈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습니다.

정부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2048년 적자 전환, 2064년 기금 소진이 예상됩니다.

지난 2020년 장기재정전망 당시의 2041년 적자 전환, 2056년 소진보다는 각각 7년, 8년 늦춰진 것입니다.

이는 지난 3월 국회를 통과한 연금개혁법안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해당 개혁안에는 소득대체율을 40%에서 43%로, 보험료율을 9%에서 13%로 인상하는 내용이 포함됐습니다.

내년 1월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사학연금은 2026년 적자 전환, 2047년 기금 소진이 예상됩니다.

적자 전환 시점은 기존 전망(2029년)보다 3년 앞당겨졌지만, 고갈 시점은 2년 늦춰졌습니다.

공무원연금은 2065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수지 적자가 0.69%로 올해보다 0.36%포인트, 군인연금은 같은 해 0.15% 적자로 올해보다 0.07%포인트 늘어납니다.

공적 보험 중에서는 건강보험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정 상황이 가장 빠르게 악화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건강보험의 경우 당장 내년 적자 전환, 2033년 준비금 소진을 예상했습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보험료율 8% 도달 뒤 유지 가정) 역시 2026년 적자 전환, 2030년 준비금 고갈이 예측됐습니다.

반면, 산재보험과 고용보험은 장기적으로 재정수지가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정부는 전반적인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해 사회보험 재정구조 개편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오디오: AI앵커
자막편집: 박해진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