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원 점심비를 8,000원에...정부 '밥값 지원' 두고 갑론을박 [지금이뉴스]

1만원 점심비를 8,000원에...정부 '밥값 지원' 두고 갑론을박 [지금이뉴스]

2025.09.01. 오전 10:0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이재명 정부 2026년 예산안에 포함된 ‘직장인 점심값 지원’ 사업을 두고 갑론을박이 일고 있습니다.

세금을 들여 직장인들의 밥값을 대줄 필요성이 있냐는 지적이 나온 가운데, 국민의힘 측에서는 "내년 지방선거용 포퓰리즘일 뿐"이라는 비판을 내놨습니다.

지난달 29일 정부가 발표한 2026년 예산안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내년부터 '직장인 든든한 한 끼' 시범사업을 실시합니다.

해당 사업에는 79억 원을 들여 인구감소 지역 중소기업 근로자 5만 4,000명에게 월 4만원 상당의 식비를 지원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해당 정책은 구체적으로 아침밥 사업은 쌀을 활용한 일반식(백반, 덮밥 등), 간편식(김밥 등)을 한 끼당 1,000원에 제공하는 '천원의 아침밥' 사업, 근로지 내 외식 업종에서 점심시간(11~15시) 결제한 금액의 20% 할인을 월 4만 원 한도로 지원하는 '든든한 점심밥' 사업 두 종류로 나뉩니다.

정부는 이 같은 정책을 내놓으며 "끼니 해결이 어려운 직장인의 복리후생 증진과 삶의 질 제고를 기대한다. 점심시간 외식 업종 이용 촉진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있다"는 기대감을 드러냈습니다.

그러나 해당 정책에 대한 반응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점심밥 지원 사업에 환호하는 직장인들이 있는 한편 "정부 세금으로 직장인들의 밥값을 지원해주는 게 옳으냐"는 여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최보윤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31일 논평을 통해 "직장인에게 점심을 싸게 제공하겠다는 발상, 듣기에는 그럴듯해 보일지 몰라도 국민적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며 "세금으로 직장인 밥값까지 챙겨야 하느냐는 반발, 도시락을 싸 오거나 점심을 거르는 직장인은 배제된다는 불만, 결국 식당 가격 인상으로 밥값만 더 올라갈 것이라는 우려가 잇따르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무엇보다 일자리조차 없어 끼니 해결이 어려운 청년과 노년층이 많은 현실에서 굳이 직장인 점심을 세금으로 보조하는 것이 타당하냐는 근본적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며 "물가만 자극하고 세대 갈등을 키우며 미래세대에는 빚만 떠넘기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이재명 정부의 '밥값 퍼주기'는 국민 생활을 돕는 것이 아니다. 국민이 원하는 것은 점심 쿠폰이 아니라 안정된 일자리와 임금, 그리고 물가 안정"이라며 "정부는 국민 밥상까지 정치에 끌어들이는 포퓰리즘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디지털뉴스팀 기자ㅣ이유나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YTN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