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일본에 이어 타이완에서도 미국이 부과한 상호관세율에 대한 해석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11일 연합보와 중국시보 등 타이완언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타이완에 부과한 상호관세 20%가 지난 7일 발효된 가운데 타이완 행정원 경제무역협상판공실(OTN)은 지난 8일 오후 늦게 타이완에 적용된 상호관세가 20%만이 아닌 기존 관세에 20%를 합산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OTN은 기존의 최혜국대우(MFN) 세율에 타이완이 임시로 부과받은 상호관세 20%를 더해야 한다면서, 타이완제 공구기계류의 경우 기존 MFN 세율 4.7%에 상호관세 20%를 합산하면 24.7%에 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경제부 무역서는 이미 지난 4월 4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가 MFN 세율에 추가하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고 밝혔고, 양전니 OTN 총담판대표도 지난 4월 16일과 지난 6일에 이 같은 상호관세 계산 방식을 자세히 공개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제2야당 민중당 황궈창 주석(대표)은 당국이 이 같은 상호관세 관련 내용 발표를 '깜깜이' 방식 공개라고 비판했습니다.
제1야당 국민당 입법위원(국회의원)은 행정원의 설명이 부족하다고 지적했고, 일부 민진당 입법위원은 대중들은 정부가 해당 상호관세에 대해 사전에 언급했다는 식의 답변보다는 정확한 상황을 듣고 싶어 한다면서 당국의 '대외 홍보 위기'라고 혹평했습니다.
타이완 상공업계는 환율 변화에 이어 이 같은 세율 증가로 인해 타이완 전통 산업 제품의 비용이 한국과 일본에 비해 10% 이상 늘어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이로 인해 향후 타이완 제품의 가격 경쟁력 상실로 인해 관련 제품의 주문이 경쟁국인 한국, 일본, 싱가포르 등으로 옮겨감에 따라 앞으로 실업률 등 여러 문제가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기자ㅣ권영희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YTN 권영희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1일 연합보와 중국시보 등 타이완언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타이완에 부과한 상호관세 20%가 지난 7일 발효된 가운데 타이완 행정원 경제무역협상판공실(OTN)은 지난 8일 오후 늦게 타이완에 적용된 상호관세가 20%만이 아닌 기존 관세에 20%를 합산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OTN은 기존의 최혜국대우(MFN) 세율에 타이완이 임시로 부과받은 상호관세 20%를 더해야 한다면서, 타이완제 공구기계류의 경우 기존 MFN 세율 4.7%에 상호관세 20%를 합산하면 24.7%에 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경제부 무역서는 이미 지난 4월 4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가 MFN 세율에 추가하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고 밝혔고, 양전니 OTN 총담판대표도 지난 4월 16일과 지난 6일에 이 같은 상호관세 계산 방식을 자세히 공개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제2야당 민중당 황궈창 주석(대표)은 당국이 이 같은 상호관세 관련 내용 발표를 '깜깜이' 방식 공개라고 비판했습니다.
제1야당 국민당 입법위원(국회의원)은 행정원의 설명이 부족하다고 지적했고, 일부 민진당 입법위원은 대중들은 정부가 해당 상호관세에 대해 사전에 언급했다는 식의 답변보다는 정확한 상황을 듣고 싶어 한다면서 당국의 '대외 홍보 위기'라고 혹평했습니다.
타이완 상공업계는 환율 변화에 이어 이 같은 세율 증가로 인해 타이완 전통 산업 제품의 비용이 한국과 일본에 비해 10% 이상 늘어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이로 인해 향후 타이완 제품의 가격 경쟁력 상실로 인해 관련 제품의 주문이 경쟁국인 한국, 일본, 싱가포르 등으로 옮겨감에 따라 앞으로 실업률 등 여러 문제가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기자ㅣ권영희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YTN 권영희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