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소비쿠폰 사용자 향해 쏟아지는 혜택...이용자 잡기 '전쟁'

[자막뉴스] 소비쿠폰 사용자 향해 쏟아지는 혜택...이용자 잡기 '전쟁'

2025.07.23. 오전 11:3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네이버 간편결제 안내창입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카카오와 토스 등 온라인 간편결제 플랫폼들은 소비 쿠폰 사용자를 잡기 위해 다양한 혜택을 내놓고 있습니다.

네이버페이는 0.3%의 적립을 내세웠고, 카카오페이는 추첨으로 100명에게 최대 2백만 원 포인트를 지급합니다.

간편결제 업체들은 이번 소비 쿠폰 지급을 신규 고객을 유치하고 기존 고객을 붙잡아둘 좋은 기회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결제 기능을 넘어 보험과 투자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이른바 '금융 슈퍼앱'을 꿈꾸는 기업에게 마케팅 적기라는 평가도 나옵니다.

[김대종 /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 : 브랜드 인지도를 올리고 또 금융 플랫폼에 대한 인지도를 크게 올릴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회이기 때문에 많은 프로모션을 하고 있다.]

배달앱도 소비 쿠폰 사용에서 소외될까 서둘러 서비스 개편에 나서고 있습니다.

기존 앱의 선 결제 방식은 쿠폰 사용이 어려운 만큼 현장 결제 등의 방식을 추가하고 있습니다.

배달의민족은 '만나서 결제' 카테고리를 배치했고, 요기요도 현장결제를 선택 옵션에 추가했습니다.

[이채영 / 요기요 관계자 : 앱에서 주문하신 후 결제방법을 현장결제로 선택하시고 라이더분이 방문 시 가지고 오시는 신용카드 단말기로 결제하시면 이용 가능합니다.]

하지만 배달앱에서 '현장 결제'를 선택하더라도, 소비 쿠폰 사용이 가능한지는 매장 매출 규모나 프랜차이즈 계약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사전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또 온라인 간편결제나 배달앱을 통한 소비 쿠폰 사용은 반드시 해당 업체의 정식 앱이나 웹사이트를 통해서만 할 수 있습니다.

문자나 이메일 등으로 전달된 URL을 누르도록 유도하는 방식은 피싱 위험이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YTN 오동건입니다.

영상기자ㅣ박진우
디자인ㅣ윤다솔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