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경 은퇴 후 여자배구 '와르르'...결국 VNL 강등 수모까지 [지금이뉴스]

김연경 은퇴 후 여자배구 '와르르'...결국 VNL 강등 수모까지 [지금이뉴스]

2025.07.14. 오후 4:4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1승 11패.

2025 국제배구연맹(FIVB) 발리볼네이션스리그(VNL)에 출전한 한국 여자배구 대표팀이 받아 든 성적표입니다.

지난 13일 프랑스에 세트 점수 0-3으로 완패해 대회 모든 일정을 마감했던 한국은 '탈꼴찌 경쟁' 중이던 태국이 14일 캐나다와 최종전에서 2-3으로 패해 승점 1점을 확보하면서 18개국 가운데 최하위로 대회를 마쳤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여자배구는 VNL 강등이 확정돼, 내년부터는 VNL에서 뛸 수 없습니다.

한국 여자배구의 추락은 하루아침에 이뤄진 일이 아닙니다.

2021년에 열린 2020 도쿄 올림픽에서 '4강 신화'를 일궈냈던 한국 여자배구는 그 대회를 끝으로 김연경, 양효진(현대건설) 등이 국가대표 은퇴를 선언하면서 내리막을 걷기 시작했습니다.

지난해까지 국제대회 30연패라는 수모를 겪었던 한국 여자배구는 지난해 VNL에서는 태국과 프랑스를 잡고 간신히 꼴찌를 모면했으나 올해는 마치 정해진 운명처럼 강등을 피하지 못했습니다.

국제대회의 부진은 국내 리그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안 그래도 지난 시즌을 끝으로 김연경이 코트를 떠난 마당에, 여자 배구 대표팀마저 VNL에서 강등되면서 추락이 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한 배구 관계자는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아 나라 전체가 속수무책으로 물에 잠기는 나라처럼, 한국 여자배구도 마치 '피할 수 없는 비극'이 닥친 느낌"이라고 안타까워했습니다.

전문가들은 'VNL 탈락'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몇 년이 걸리더라도 기초를 다지는 게 필요하다고 입을 모읍니다.

이정철 SBS 스포츠 해설위원은 "상황이 어려운 것은 이해하지만, 어떻게든 강등만은 피했어야 했다. 2주 차에 캐나다를 잡고 1승을 거둔 뒤 1승도 추가하지 못한 게 안타깝다"고 대회를 돌아봤습니다.

이어 "현실적으로 국내 여자배구 저변이 부족하다. 많은 배구인이 이 부분을 우려했고, 결국 현실로 다가왔다. 이제부터라도 잘 준비해서 VNL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자막편집 : 정의진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