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한 중국 기업 로보락이 한국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국에서 수집·처리해온 사실이 확인됐다고 한국경제가 단독보도 했습니다.
지난 2월 “한국 고객 데이터는 중국으로 전송되지 않는다”고 해명했던 로보락은 한 달 뒤인 3월 31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개정하면서, 중국에서 직접 개인정보를 수집·처리한다는 내용을 명시했습니다.
개정된 방침에는 기존에 포함됐던 ‘미국 데이터센터에서 한국 고객의 데이터를 수집한다’는 문구가 삭제됐으며, 대신 ‘중국에서 직접 수집해 처리한다’는 조항이 추가됐습니다.
로보락의 무선 청소 기능을 100% 활용하려면 스마트폰 앱 설치와 회원 가입이 필수인 만큼,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로봇청소기에 카메라와 센서가 탑재돼 집 안 곳곳을 훑고 다니는 구조인 만큼 단순 개인정보를 넘어 영상 데이터까지 수집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의 데이터보안법에는 국가 안보를 이유로 정부가 기업에 데이터를 요구할 수 있고, 기업은 이에 협조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어 논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로보락은 이에 대해 “데이터 수집 주체가 중국 본사라는 의미일 뿐, 실제 데이터는 미국 아마존 데이터센터에 저장되며, 로봇청소기가 수집한 영상 데이터 등은 암호화된 상태로 기기 내에 저장돼 외부 유출 우려는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불안은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로보락의 최신 개인정보 처리방침에 따르면, 로보락은 사용자 ID, IP주소, 기기 정보 등 개인정보를 중국 항저우에 본사를 둔 사물인터넷(IoT) 기업 투야와 공유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투야는 2021년 미국 상원의원들이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이유로 제재를 요청한 업체로, 당시 상원의원들은 “중국 공산당이 투야에 미국인의 개인정보를 요청할 경우 이를 제공해야 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제작 | 이 선
영상출처ㅣ인스타그램@roborock.korea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 2월 “한국 고객 데이터는 중국으로 전송되지 않는다”고 해명했던 로보락은 한 달 뒤인 3월 31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개정하면서, 중국에서 직접 개인정보를 수집·처리한다는 내용을 명시했습니다.
개정된 방침에는 기존에 포함됐던 ‘미국 데이터센터에서 한국 고객의 데이터를 수집한다’는 문구가 삭제됐으며, 대신 ‘중국에서 직접 수집해 처리한다’는 조항이 추가됐습니다.
로보락의 무선 청소 기능을 100% 활용하려면 스마트폰 앱 설치와 회원 가입이 필수인 만큼,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로봇청소기에 카메라와 센서가 탑재돼 집 안 곳곳을 훑고 다니는 구조인 만큼 단순 개인정보를 넘어 영상 데이터까지 수집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의 데이터보안법에는 국가 안보를 이유로 정부가 기업에 데이터를 요구할 수 있고, 기업은 이에 협조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어 논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로보락은 이에 대해 “데이터 수집 주체가 중국 본사라는 의미일 뿐, 실제 데이터는 미국 아마존 데이터센터에 저장되며, 로봇청소기가 수집한 영상 데이터 등은 암호화된 상태로 기기 내에 저장돼 외부 유출 우려는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불안은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로보락의 최신 개인정보 처리방침에 따르면, 로보락은 사용자 ID, IP주소, 기기 정보 등 개인정보를 중국 항저우에 본사를 둔 사물인터넷(IoT) 기업 투야와 공유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투야는 2021년 미국 상원의원들이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이유로 제재를 요청한 업체로, 당시 상원의원들은 “중국 공산당이 투야에 미국인의 개인정보를 요청할 경우 이를 제공해야 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제작 | 이 선
영상출처ㅣ인스타그램@roborock.korea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