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인 하마스 사이의 전쟁이 일어난 지 벌써 600일이 됐습니다.
전쟁이 길어지면서 가자지구에선 굶어 죽는 사람까지 속출할 정도로 인도주의적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전쟁은 선전포고도 없이 대규모 기습 공격에 나선 하마스가 촉발했습니다.
이스라엘 민간인에 대한 공격과 납치까지 발생했죠.
당연히 이스라엘은 대대적인 보복에 나섰습니다.
[모함마드 데이프 / 하마스 사령관 : 오늘은 세계의 마지막 점령과 이스라엘의 차별 정책에 종지부를 찍는 위대한 혁명의 날입니다.]
[베냐민 네타냐후 / 이스라엘 총리 : 우리는 전쟁 중입니다. 군사 작전이 아닌 전쟁입니다. 오늘 아침 하마스는 이스라엘과 국민을 겨냥해 살인적 기습 공격을 감행했습니다.]
사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마찰은 오랜 역사적인 배경이 있습니다.
다만 이번 전쟁만 떼놓고 보면,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가 국교 정상화를 추진하자,
중동 지역에서 고립되는 걸 두려워한 하마스가 이걸 견제하기 위해 먼저 나선 것으로 풀이됩니다.
당연히 초기엔 이스라엘이 전쟁의 명분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문제는 무차별적인 폭격과 봉쇄로 가자지구 민간인들이 끊임없이 희생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어린이도 예외는 아닙니다.
[안토니오 구테흐스 / 유엔 사무총장 : 최근 남부 국경에서 4백 대의 트럭이 반입 허가를 받았지만 실제로 전달된 물자는 115대 분량에 불과합니다.]
그리고 이 배경에는 정치적인 위기를 겪는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있습니다.
전쟁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려고 한다는 거죠.
이스라엘이 정치적인 목적으로 사실상 인종 청소라는 전쟁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는 배경이기도 합니다.
하마스가 통치하는 가자지구 보건부는 지금까지 팔레스타인 주민 5만 4천여 명이 숨지고,
12만 3천여 명이 다쳤다고 밝혔습니다.
최근에는 이스라엘의 극단적인 봉쇄로 아사자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전쟁만 놓고 봤을 때 이스라엘은 분명히 피해자로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이스라엘의 만행에 오랜 우방들마저 등을 돌리고, 반유대주의 정서마저 다시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지금과 같은 행위론 전투에선 이기더라도 전쟁에서 이기는 건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VJ | 박선욱
자막뉴스 | 안진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전쟁이 길어지면서 가자지구에선 굶어 죽는 사람까지 속출할 정도로 인도주의적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전쟁은 선전포고도 없이 대규모 기습 공격에 나선 하마스가 촉발했습니다.
이스라엘 민간인에 대한 공격과 납치까지 발생했죠.
당연히 이스라엘은 대대적인 보복에 나섰습니다.
[모함마드 데이프 / 하마스 사령관 : 오늘은 세계의 마지막 점령과 이스라엘의 차별 정책에 종지부를 찍는 위대한 혁명의 날입니다.]
[베냐민 네타냐후 / 이스라엘 총리 : 우리는 전쟁 중입니다. 군사 작전이 아닌 전쟁입니다. 오늘 아침 하마스는 이스라엘과 국민을 겨냥해 살인적 기습 공격을 감행했습니다.]
사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마찰은 오랜 역사적인 배경이 있습니다.
다만 이번 전쟁만 떼놓고 보면,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가 국교 정상화를 추진하자,
중동 지역에서 고립되는 걸 두려워한 하마스가 이걸 견제하기 위해 먼저 나선 것으로 풀이됩니다.
당연히 초기엔 이스라엘이 전쟁의 명분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문제는 무차별적인 폭격과 봉쇄로 가자지구 민간인들이 끊임없이 희생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어린이도 예외는 아닙니다.
[안토니오 구테흐스 / 유엔 사무총장 : 최근 남부 국경에서 4백 대의 트럭이 반입 허가를 받았지만 실제로 전달된 물자는 115대 분량에 불과합니다.]
그리고 이 배경에는 정치적인 위기를 겪는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있습니다.
전쟁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려고 한다는 거죠.
이스라엘이 정치적인 목적으로 사실상 인종 청소라는 전쟁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는 배경이기도 합니다.
하마스가 통치하는 가자지구 보건부는 지금까지 팔레스타인 주민 5만 4천여 명이 숨지고,
12만 3천여 명이 다쳤다고 밝혔습니다.
최근에는 이스라엘의 극단적인 봉쇄로 아사자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전쟁만 놓고 봤을 때 이스라엘은 분명히 피해자로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이스라엘의 만행에 오랜 우방들마저 등을 돌리고, 반유대주의 정서마저 다시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지금과 같은 행위론 전투에선 이기더라도 전쟁에서 이기는 건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VJ | 박선욱
자막뉴스 | 안진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