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22일(현지시간) 갈등을 빚어온 하버드대의 숨통을 더욱 옥죄고 나섰습니다.
하버드대가 외국인 학생을 받을 수 없도록 관련 자격을 전격 박탈하면서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가 반(反)유대주의 근절을 위해 요구한 학내 정책 변경에 응하지 않고 위법 행위를 하고 있단 점을 이번 조치의 근거로 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지지율 `누수`를 겪는 트럼프 대통령이 `마가`(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 지지층 결집을 가속화하기 위해 자신이 `진보 엘리트` 딱지를 붙인 하버드대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국토안보부는 보도자료를 내고 하버드대는 더 이상 외국인 학생을 받을 수 없고, 기존 외국인 재학생은 비자를 유지하려면 학교를 옮겨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일각에선 이번 조치로 하버드대가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당장 외국인 학생의 등록금에서 나오는 수입이 끊기는 것은 물론, 조치가 장기화할 경우 전 세계 우수 인재들을 유치하는 세계 최고 명문이라는 하버드의 `브랜드` 역시 일부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
현재 하버드대의 재학생 중 27%(약 7천명)가 외국인인 것으로 집계됩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 `탄압`에 고삐를 죄는 데에는 마가 세력의 결집을 더욱 강화하려는 포석이 깔린 것으로 분석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뒤 진보 엘리트들의 워크(woke·진보적 가치를 강요하는 행위에 대한 비판적 용어) 담론을 척결하겠다며 각계를 겨냥해 `문화 전쟁`을 벌여왔습니다.
특히 하버드대를 비롯한 명문대를 진보 사상의 `보루`로 지목하고 반유대주의 근절 등을 명분으로 내세워 학내 DEI(다양성·포용성·형평성) 정책의 폐기 등을 압박해왔습니다.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가 전날 워싱턴DC에서 이스라엘 대사관 직원 2명이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총격범에게 살해된 사건 뒤 이뤄진 점에도 주목합니다.
미국의 `심장부`에서 발생한 비극으로 반유대주의에 대한 경각심이 고조된 상황을 계기로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를 비롯한 명문대에 요구해온 `개혁`의 명분을 더 부각하려는 계산이 깔려 있다는 분석입니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하버드대가 외국인 학생을 받을 수 없도록 관련 자격을 전격 박탈하면서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가 반(反)유대주의 근절을 위해 요구한 학내 정책 변경에 응하지 않고 위법 행위를 하고 있단 점을 이번 조치의 근거로 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지지율 `누수`를 겪는 트럼프 대통령이 `마가`(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 지지층 결집을 가속화하기 위해 자신이 `진보 엘리트` 딱지를 붙인 하버드대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국토안보부는 보도자료를 내고 하버드대는 더 이상 외국인 학생을 받을 수 없고, 기존 외국인 재학생은 비자를 유지하려면 학교를 옮겨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일각에선 이번 조치로 하버드대가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당장 외국인 학생의 등록금에서 나오는 수입이 끊기는 것은 물론, 조치가 장기화할 경우 전 세계 우수 인재들을 유치하는 세계 최고 명문이라는 하버드의 `브랜드` 역시 일부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
현재 하버드대의 재학생 중 27%(약 7천명)가 외국인인 것으로 집계됩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 `탄압`에 고삐를 죄는 데에는 마가 세력의 결집을 더욱 강화하려는 포석이 깔린 것으로 분석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뒤 진보 엘리트들의 워크(woke·진보적 가치를 강요하는 행위에 대한 비판적 용어) 담론을 척결하겠다며 각계를 겨냥해 `문화 전쟁`을 벌여왔습니다.
특히 하버드대를 비롯한 명문대를 진보 사상의 `보루`로 지목하고 반유대주의 근절 등을 명분으로 내세워 학내 DEI(다양성·포용성·형평성) 정책의 폐기 등을 압박해왔습니다.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가 전날 워싱턴DC에서 이스라엘 대사관 직원 2명이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총격범에게 살해된 사건 뒤 이뤄진 점에도 주목합니다.
미국의 `심장부`에서 발생한 비극으로 반유대주의에 대한 경각심이 고조된 상황을 계기로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를 비롯한 명문대에 요구해온 `개혁`의 명분을 더 부각하려는 계산이 깔려 있다는 분석입니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