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잠잠해서 더 두려운 트럼프...'쇼크' 현재진행형

[자막뉴스] 잠잠해서 더 두려운 트럼프...'쇼크' 현재진행형

2025.05.23. 오전 10:57.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미국 현지 시각으로 지난 5일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에도 관세를 매기겠다고 공언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지난 5일) : (의약품 관세에 대해서는 이미 어떤 결정이 나왔나요?) 그렇습니다. 2주 내로 발표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2주가 넘도록 별다른 조치가 없자 관세 영향권 안에 든 우리 바이오업계는 신경만 바짝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미국 의약품 시장 전체 규모는 2,515억 달러,

이 가운데 한국 기업이 차지하는 규모는 지난해 기준 39억 8천만 달러로 비율은 높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 기준으로 보면 미국은 단일 국가 기준으로 국내 바이오 제품의 최대 수출처입니다.

때문에 정부를 비롯해 무역협회 등 단체들도 앞다퉈 미국 정부에 의견서를 내고 관세 면제를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질지는 미지수.

우려가 커지자 정부와 코트라에서 마련한 미국 바이오업계 동향 관련 온라인 세미나에는 국내 제약사 관계자 수십 명이 몰렸고,

[나민우 / PharmaSphere 아시아사업 총괄이사 : 대미 무역에 일단 적신호가 켜졌고 그 기준과 일정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우리 기업으로 봤을 때는 어떻게 효과적으로 미국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지 이걸 좀 고민을 해야 되는데….]

미국 투자 계획이 있던 우리나라 대표 바이오시밀러 제조사 셀트리온은 결정을 유예하기로 했습니다.

[서정진 / 셀트리온 그룹 회장(지난 15일) : 미국으로 들어가는 것만이 답이냐 이거에 대한 답도 아직 제가 클리어(명확)하게 내지는 못했어요. 그래서 그런 것들을 다 고려서 연말쯤, 원래는 6월 말까지 결정하려고 그랬던 것을, 12월 말까지는 결정하려고 그럽니다.]

다만 의약품에 관세를 매기면 가뜩이나 높은 미국 내의 약값이 더 높아질 수도 있는 만큼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 조치에는 나서지 않을 거란 분석도 있습니다.

불확실성이 커져만 가는 가운데 정부는 관세로 인한 국내로의 '유턴 투자'를 지원하는 등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입니다.

YTN 황혜경입니다.

영상편집ㅣ이정욱
디자인ㅣ김진호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