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멀어진 한국-중국, 관계 회복하나...외교정책 변화 가능성

[자막뉴스] 멀어진 한국-중국, 관계 회복하나...외교정책 변화 가능성

2023.12.26. 오후 1:17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윤석열 정부의 초기 외교는 한미일 관계 강화에 집중됐습니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커지는 상황에서 한미 동맹의 핵 기반 확장억제 방안과 한일관계 개선이 시급했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문재인 정부 때 돈독했던 한중관계는 소원해졌습니다.

윤 대통령의 타이완 관련 외신 인터뷰에 이어 싱하이밍 중국 대사의 '베팅' 발언으로 양국관계는 크게 출렁였고,

[싱하이밍 / 주한 중국대사(지난 6월 8일) : 일각에서 미국이 승리할 것이고 중국이 패배할 것이라는 그런 베팅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는 분명히 잘못된 판단입니다.]

두 나라가 서로 상대국 대사를 초치하는 일까지 벌어졌습니다.

최근엔 양국 외교장관 회담 등 최고위급 소통을 이어가면서 관계 복원을 꾀하고 있지만, 미·중 대립과 한미일 대 북중러의 신냉전 구도는 여전히 걸림돌입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우리 외교의 약한 고리인 한중관계 복원을 모색하겠다며 외교정책 변화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

[조태열 / 외교부 장관 후보자 : 한중관계도 한미동맹 못지 않게 중요한 관계이기 때문에 조화롭게 양자 관계를 유지해갈 수 있는 방법들을 찾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한미일 3각 협력을 유지하면서도 한중관계에 공을 들여 기울어진 외교 저울추의 균형을 맞추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조 후보자는 일단 내년 초 한일중 정상회의 개최에 이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을 성사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강준영 /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 : 대중국 관계의 큰 틀을 잡아나갈 수 있는 그런 조직을 하나 갖고 있으면 중국과 접근하고 소통하기가 쉽지 않겠는가 하는…]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국이자 북한에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중국과의 관계를 어떻게 풀어내느냐가 윤석열 2기 외교안보팀의 시급한 숙제로 떠올랐습니다.

YTN 신현준입니다.

영상편집 | 정치윤
자막뉴스 | 박해진

#YTN자막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