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일반인의 평균 대뇌피질 두께보다 얇아진 부분은 파란색으로 표시됐습니다.
대뇌 피질 전체의 절반이 넘습니다.
대뇌 피질은 신경세포가 모여 있는 곳으로 기억과 학습 능력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이 부분이 얇아지면서 머릿속에 지우개가 생기게 되는 겁니다.
그런데 고농도 미세먼지와 같은 심한 대기 오염에 노출된 사람들에게서도 이와 비슷한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뇌 질환이 없는 50대 이상 성인 640명을 대상으로 대기오염 물질에 노출된 상황에서 대뇌 피질의 변화를 연구했습니다.
그 결과 고농도에 노출된 사람의 뇌도 대뇌피질의 상당 부분이 위축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위축된 부위도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변형 부위와 흡사했습니다.
미세먼지 등 대기 오염 물질이 폐로 들어가 염증을 일으키고, 그 염증이 몸 전체에 퍼집니다.
특히 뇌에는 신경 염증을 유발하는데, 이 과정에서 대뇌 피질이 얇아진다는 것입니다.
[조재림 /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조교수 :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 이산화 질소같은 주요 대기오염 물질을 노출 지표로 해 대기오염이 뇌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습니다. 그 결과 대기오염 노출에 의해서 위축이 되는 부위가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에서 보일 수 있는 위축 부위와 흡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세먼지는 농도가 ㎥ 당 10㎍ 높아질 때마다 전두엽의 두께는 0.02mm, 측두엽은 0.06mm 감소했습니다.
초미세 먼지는 10㎍ 높아질 때마다 측두엽 두께가 0.18mm 감소했고, 이산화질소 역시 농도가 10ppb 높아지자 대뇌피질의 네 가지 부위 모두 위축됐습니다.
[조재림 /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조교수 : 사고력, 공간지각력, 주의력, 기억력 이런 것들을 관장하는 중요한 부위라서 이런 부위들의 위축이 일어나면 인지기능 저하라고 부르는 그런 것들이 나타나고 그로 인해서 치매까지 발생할 수 있는 단계로 갈 수가 있습니다.]
대기오염 물질이 뇌를 위축시켜 결국은 치매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규명한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인바이런먼트 인터내셔널'에 게재됐습니다.
대기오염 물질에 노출될수록 뇌가 마치 치매에 걸린 것처럼 변한다는 사실이 실험을 통해 입증됐습니다.
고농도 미세먼지가 예보될 때 미세먼지용 마스크를 쓰거나 외출을 자제해야 하는 과학적인 이유가 밝혀진 겁니다.
YTN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 : 이문세
자막뉴스 : 이선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자막뉴스
기사목록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