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에 반도체 생산시설 공개와 초과 수익 공유, 중국에 반도체 투자 금지 등의 보조금 요건은 미국 기업이나 외국 기업에 동일하다는 겁니다.
[라민 툴루이/미 국무부 경제기업담당 차관보 : 반도체법 보조금 접근과 다양한 가이드 라인 적용은 미국 기업이든 외국 기업이든 똑같습니다.]
미 국무부는 또 앞으로 5년 동안 해마다 1억 달러씩 기금을 편성해 반도체 공급망과 국제 정보통신기술의 안보를 위해 사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첨단 반도체와 관련 기술의 유출을 막기 위해 동맹, 파트너들과 수출통제 등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겁니다.
[라민 툴루이/미 국무부 경제기업담당 차관보 : 구체적으로 5억 달러를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을 세계적으로 강화할 목적으로 책정했습니다.]
그러면서 공급망, 연구 투자, 인력 양성, 기술 개발 등을 동맹과 파트너와 함께하려고 한다는 점을 한국과 EU도 이해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너새니얼 픽 / 미 국무부 사이버·디지털 특임대사 : 정보통신기술(ICT) 공간에서는 한국의 삼성, 핀란드의 노키아, 스웨덴의 에릭슨 같은 신뢰할 수 있는 기업이 우리가 구상하는 미래의 큰 부분을 차지할 게 분명합니다.]
미 국무부가 반도체법 보조금 조건에 대한 한국의 우려에 대해 이처럼 해명하고 나서면서 다음 달 말 열릴 예정인 정상회담까지 한미 간 물밑협상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이종수입니다.
영상편집 : 이영훈
자막뉴스 : 이선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자막뉴스
기사목록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