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료 비쌀수록 높은 수수료…요금 전액 물기도
수수료 규정 눈에 잘 띄지 않아 미리 알기 어려워
수수료 규정 눈에 잘 띄지 않아 미리 알기 어려워
AD
최근 택시 호출 앱을 이용했다가 겪었다는 황당 사례입니다.
너무 멀리 있는 택시가 잡혀서 바로 예약을 취소했는데, 5만 원이 자동 결제됐다는 겁니다.
고객센터에 문의했더니 '노쇼'로 처리돼 수수료가 부과됐다는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이한형 / 직장인 : 너무 이건 부당하다고 생각이 들어서 바로 다음 날 바로 문제를 제기했는데, 그것조차도 수용되지 않아서….]
블랙 택시처럼 기본요금이 비쌀수록 수수료도 비쌉니다.
1시간 전에 취소하거나 탑승하지 않으면 요금의 100%, 최대 5만 원을 물어야 합니다.
정작 이런 규정은 눈에 잘 띄지 않아 이용자들이 미리 알기는 쉽지 않습니다.
최근 택시 호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소비자들의 불만 신고도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당한 요금 부과나 취소 수수료 과다 등 요금과 관련된 불만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김대중 / 한국소비자원 시장조사국장 : 택시 플랫폼 호출 서비스는 즉시 호출과 예약 호출로 구분되며 두 서비스 모두 소비자의 호출 취소나 미탑승 시 취소 수수료를 부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즉시 호출의 경우 택시 호출 플랫폼 대부분이 배차된 지 1분에서 3분 이내에 취소해도 최대 5천 원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예약 호출의 경우 카카오T와 타다, i.M은 출발 1시간 전에 취소해도 요금 100%를 내도록 하고 있습니다.
반면 택시 기사가 일방적으로 취소했을 때 소비자에게 손해를 배상하도록 약관을 둔 곳은 '타다' 한 곳에 불과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택시 플랫폼 사업자들에게 취소 수수료 안내 강화와 단가 조정, 손해배상 규정 마련을 권고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YTN 윤해리입니다.
촬영기자 : 김종완
그래픽 : 기내경
자막뉴스 : 윤희정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너무 멀리 있는 택시가 잡혀서 바로 예약을 취소했는데, 5만 원이 자동 결제됐다는 겁니다.
고객센터에 문의했더니 '노쇼'로 처리돼 수수료가 부과됐다는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이한형 / 직장인 : 너무 이건 부당하다고 생각이 들어서 바로 다음 날 바로 문제를 제기했는데, 그것조차도 수용되지 않아서….]
블랙 택시처럼 기본요금이 비쌀수록 수수료도 비쌉니다.
1시간 전에 취소하거나 탑승하지 않으면 요금의 100%, 최대 5만 원을 물어야 합니다.
정작 이런 규정은 눈에 잘 띄지 않아 이용자들이 미리 알기는 쉽지 않습니다.
최근 택시 호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소비자들의 불만 신고도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당한 요금 부과나 취소 수수료 과다 등 요금과 관련된 불만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김대중 / 한국소비자원 시장조사국장 : 택시 플랫폼 호출 서비스는 즉시 호출과 예약 호출로 구분되며 두 서비스 모두 소비자의 호출 취소나 미탑승 시 취소 수수료를 부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즉시 호출의 경우 택시 호출 플랫폼 대부분이 배차된 지 1분에서 3분 이내에 취소해도 최대 5천 원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예약 호출의 경우 카카오T와 타다, i.M은 출발 1시간 전에 취소해도 요금 100%를 내도록 하고 있습니다.
반면 택시 기사가 일방적으로 취소했을 때 소비자에게 손해를 배상하도록 약관을 둔 곳은 '타다' 한 곳에 불과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택시 플랫폼 사업자들에게 취소 수수료 안내 강화와 단가 조정, 손해배상 규정 마련을 권고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YTN 윤해리입니다.
촬영기자 : 김종완
그래픽 : 기내경
자막뉴스 : 윤희정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