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계속 낮아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만 해도 1.9%에 달했지만,
올해 2월 들어 1.5%로 하향 조정됐습니다.
예상치 못한 12.3 비상계엄 여파로 내수 부진의 골이 깊어진 결과입니다.
문제는 이 수치 발표 두 달 만에 전망이 또 어두워졌다는 점입니다.
1분기 성장률이 예상보다 무려 0.4%p나 주저앉으면서, 마이너스를 기록한 겁니다.
이를 반영해 올해 성장률도 0%대에 그칠 거라는 전망이 나올 정도입니다.
미국발 관세 영향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면 수출 성적표가 나빠져 전체 성장률을 끌어내릴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한국은행은 국내 정치 불안이 해소됐고, 추경과 금리 인하 효과 등이 나타나면서 내수가 나아질 것으로 내다봤지만, 전문가들 반응은 싸늘합니다.
[주원 /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 (추경이) 실제로 집행되는 시기는 2분기는 아니거든요. 벌써 성장률이 (3분기) 0.1%, 4분기 0.1% 정도로 상당히 좀 낮은 수준으로 계속 진행이 됐는데 금리 인하를 한국은행이 언급하려면 미리 내렸어야 합니다.]
커지는 금리 인하 실기론에 이창용 한은 총재는 선을 그었습니다.
[이창용 / 한국은행 총재 (지난달 17일) : 통화 정책을 보수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습니다. 이게 소위 실기론인데요. 금리 인하 사이클을 남보다 먼저 시작하고 지금 세 차례 하고 있고 또 지금 계속할 예정이고….]
그러면서 경기 부양을 통화정책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며, 정부 재정정책과 공조를 강조했습니다.
이에 추경 등 경기 부양책에 따라 올해 금리 인하 횟수 등 통화정책 향배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YTN 이형원입니다.
영상편집ㅣ이정욱
디자인ㅣ이가은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해 11월만 해도 1.9%에 달했지만,
올해 2월 들어 1.5%로 하향 조정됐습니다.
예상치 못한 12.3 비상계엄 여파로 내수 부진의 골이 깊어진 결과입니다.
문제는 이 수치 발표 두 달 만에 전망이 또 어두워졌다는 점입니다.
1분기 성장률이 예상보다 무려 0.4%p나 주저앉으면서, 마이너스를 기록한 겁니다.
이를 반영해 올해 성장률도 0%대에 그칠 거라는 전망이 나올 정도입니다.
미국발 관세 영향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면 수출 성적표가 나빠져 전체 성장률을 끌어내릴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한국은행은 국내 정치 불안이 해소됐고, 추경과 금리 인하 효과 등이 나타나면서 내수가 나아질 것으로 내다봤지만, 전문가들 반응은 싸늘합니다.
[주원 /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 (추경이) 실제로 집행되는 시기는 2분기는 아니거든요. 벌써 성장률이 (3분기) 0.1%, 4분기 0.1% 정도로 상당히 좀 낮은 수준으로 계속 진행이 됐는데 금리 인하를 한국은행이 언급하려면 미리 내렸어야 합니다.]
커지는 금리 인하 실기론에 이창용 한은 총재는 선을 그었습니다.
[이창용 / 한국은행 총재 (지난달 17일) : 통화 정책을 보수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습니다. 이게 소위 실기론인데요. 금리 인하 사이클을 남보다 먼저 시작하고 지금 세 차례 하고 있고 또 지금 계속할 예정이고….]
그러면서 경기 부양을 통화정책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며, 정부 재정정책과 공조를 강조했습니다.
이에 추경 등 경기 부양책에 따라 올해 금리 인하 횟수 등 통화정책 향배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YTN 이형원입니다.
영상편집ㅣ이정욱
디자인ㅣ이가은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