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보도 사업자 선정 의미와 전망 [도준호, 숙명여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종편·보도 사업자 선정 의미와 전망 [도준호, 숙명여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2010.12.31. 오전 11:3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멘트]

종편과 보도채널 사업자 선정의 의미를 짚어보고, 앞으로 미디어 업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전망해보겠습니다.

이 자리에 숙명여대 언론정보학부 도준호 교수께서 나오셨습니다.

[질문1]

종편 4개 보도채널 1개,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

[질문2]

종편과 보도채널이 한꺼번에 선정돼서, 미디어 시장이 많이 바뀔텐데요, 전체적으로 어떤 변화가 예상됩니까 ?

[질문3]

종편을 통해 신문사들이 대거 방송분야에 진출 하게 됐는데, 신문들은 왜 방송에 진출을 하는 겁니까 ?

[질문4]

일본의 경우도 신문사들이 방송을 겸영하고 있는데, 기존 방송사들과는 좀 다르지 않을까요?

[질문5]

우선 미디어 업계가 무한경쟁으로 치닫게 되는데, 방송을 떠받치는 국내 광고시장의 여력이 있을까요?

[질문6]

방송 광고시장이 작으면 경쟁이 치열해질 텐데요, 이렇게 될 경우 언론 본연의 올바른 비판 기능이 약해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제기되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7]

정부가 이런 우려를 감수하면서 종편과 보도채널 사업자를 선정하는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 ?

[질문8]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방송사가 늘어나면 어떤 점이 달라지는 겁니까?

[질문9]

그런데 방송사가 한꺼번에 출현하면서 방송인력 부족 문제도 제기되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

[질문10]

종편의 초기 납입자본금이 최소 3,000억 원이어서 상당한 돈이 들어가는데, 종편에 진출한 신문사들이 성공할 것으로 보십니까 ?

[질문11]

방송시장이 커지면서 사업자들은 어떤 점에 유념을 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