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고시 폐지의 의미는? [장지호, 한국외대 행정학 교수]

행정고시 폐지의 의미는? [장지호, 한국외대 행정학 교수]

2010.08.14. 오후 6:0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멘트]

행정안전부가 공직사회의 경직성을 해소하기 위해 '행정고시' 제도를 통한 공무원 선발제도를 대폭 개편하기로 했는데요.

외부전문가의 채용 비중을 정원의 50%까지 늘린다는 계획을 놓고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습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행정학과 장지호 교수 연결해 그 의미를 짚어보겠습니다.

[질문1]

사법고시와 외무고시에 이어 행정고시의 개편도 어느 정도 예상은 됐었는데요.

하지만 그럼에도 사전 예고 없이 갑작스럽게 발표됐다는 반응이 많은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2]

고시생들 사이에서는 유예기간 없이 당장 내년부터 시험을 통한 선발인원을 줄여간다는데 거부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3]

행정안전부는 외부 전문가의 채용을 늘려 공직사회를 개방하고, 경쟁을 유도하기 위해 이번 개편안을 준비하고 있는데요. 이런 취지를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4]

그렇다면 과연 '행정고시' 폐지를 통해서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까?

[질문5]

일각에서는 시험을 치르지 않고 외부 전문가를 서류와 면접만으로 선발하는 채용 과정이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6]

그렇다면 전문가 채용 과정에서 합리성을 확보하려면 어떤 평가들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십니까?

[질문7]

기존에도 외부 전문가들이 특채로 일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지만 고시 출신 공무원들과 불협화음이 많았던 것이 사실입니다.

선발방식의 변화로 공직사회의 경직성이 해소될 거라고 보십니까?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