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장르물의 대가 김은희 작가와 대세 배우 김태리 씨가 뭉친 한국형 오컬트 드라마 '악귀'가 시청자를 찾아온다.
오늘(23일) 오후 2시 서울 강서구 등촌동 SBS에서 새 금토드라마 ‘악귀’의 제작발표회가 열렸다. 이날 제작발표회에는 작품의 연출을 맡은 이정림 감독을 비롯해 주연 배우인 김태리, 오정세, 홍경 씨 등이 자리해 드라마와 관련된 이야기를 나눴다.
'악귀'는 악귀에 씐 여자와 그 악귀를 볼 수 있는 남자가 의문의 죽음을 파헤치는 한국형 오컬트 미스터리 드라마. '싸인’, ‘유령’, ‘시그널’, ‘킹덤’ 등 집필하는 작품마다 높은 완성도로 흥행을 성공시킨 김은희 작가의 신작으로, 지난 2019년 ‘VIP’를 통해 디테일한 연출력을 보여준 이정림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장르물의 대가로 불리는 김은희 작가의 복귀작이라는 사실에 더해 탄탄한 출연진 역시 눈길을 끈다.
매 작품 전에 없이 새로운 변신을 선보이는 김태리 씨가 악귀와 조우한 뒤 잠재된 욕망에 눈을 뜨는 구산영 캐릭터를 맡았고, 장르불문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이는 배우 오정세 씨는 어머니를 죽인 악귀를 집요하게 추적하는 민속학 교수 염해상 역할로 분한다. 전작 '약한영웅 Class 1'을 통해 대중에게 강렬한 눈도장을 찍었던 홍경 씨는 미스터리 사건들을 쫓는 강력범죄수사대 형사 이홍새로 변신한다.
드라마 '스물다섯 스물하나' 이후 약 1년 만에 안방극장에 복귀한 김태리 씨는 "악귀라는 신선한 소재가 재미 있었다.여기에 청춘이라는 키워드를 녹여낸다고 해서 흥미롭고 궁금했다"라며 작품 참여 계기를 전했다. 그는 12부 내내 작품이 빼곡하게 채워졌다며 대본에 대한 만족감을 덧붙였다.
이정림 감독 역시 "김은희 작가님이 대본에 지문을 디테일하게 써주셔서 즐겁게 작업했다. 대본을 읽는 것만으로 연출에 도움을 받았다"라고 김은희 작가에 대한 신뢰와 믿음을 전했다.
오정세 씨는 "섬뜩한 서사 위에서 악귀를 찾아가는 과정이 안갯속을 걷는 느낌이었다. 궁금증이 생기면 배우들과 함께 숙제를 풀기 위해 노력하고, 작가님에게 묻기도 했다. 저 역시 빼곡한 대본이 흥미로웠다"라고 대본이 지닌 매력을 예고했다.
이어 홍경 씨는 "김은희 작가님과 김태리, 오정세 선배님이 참여하신다는 이야기를 듣고 '언제 출연할 수 있겠나' 싶었다. 설레는 마음으로 함께했다"라며 벅찬 소감을 함께 전했다.
오컬트 장르는 다소 마니악하고 낯설 수 있는 바, 이정림 감독은 '익숙하지만 기묘한 그림'을 그리려 노력했다고 연출 후기를 전했다. 그는 "오컬트라는 장르에 매몰되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서양의 오컬트와 달리 엑소시즘(퇴마)에 대한 부분은 나오지 않고 우리의 민속적인 부분과 설화적인 부분이 더 많이 다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15세 관람가 내에서 할 수 있는 최대치를 내보려고 노력했다. 촬영하다보니 무서움에 익숙해져서 때로는 자극으로 연출하려고 하지 않았나 싶은 부분도 있다. 하지만 세 배우와 작가님 모두 재미있는 사람들이라 무서운 장면이 지나면 유머도 숨어있어서 무섭지 않게 볼 수 있는 드라마 같다"라고 부연했다.
김태리 씨 역시 "한국에서도 이제 오컬트 장르는 많이 익숙해졌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한국적, 동양적 오컬트는 정말 새로운 부분이 있을 것 같다. 이야기를 따라가면서 함께 추리하고 미스터리를 풀어가는 과정을 즐겨주셨으면 좋겠다"라고 설명했다.
'악귀'는 최고 시청률 16.8%(닐슨코리아 전국 기준)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낭만닥터 김사부3'의 후속작으로 방영된다는 점에서, 시청률 예측에 대한 질문이 이어지기도 했다. 이 감독에 따르면 실제 100여 명의 제작진이 함께 하는 대화방에서도 시청률 예측 투표가 진행되고 있다고.
이정림 감독과 김태리 씨는 1,2부 통합 20%대를, 오정세 씨와 홍경 씨는 30%를 희망한다며 작품 흥행에 대한 바람을 전하기도 했다.
믿고 보는 배우들과 제작진이 의기투합하며 기대감을 높이는 '악귀'는 오늘(23일) 밤 10시 첫 방송을 앞두고 있다.
[사진출처 = SBS]
YTN star 김성현 (jamkim@ytn.co.kr)
* YTN star에서는 연예인 및 연예계 종사자들과 관련된 제보를 받습니다.
ytnstar@ytn.co.kr로 언제든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오늘(23일) 오후 2시 서울 강서구 등촌동 SBS에서 새 금토드라마 ‘악귀’의 제작발표회가 열렸다. 이날 제작발표회에는 작품의 연출을 맡은 이정림 감독을 비롯해 주연 배우인 김태리, 오정세, 홍경 씨 등이 자리해 드라마와 관련된 이야기를 나눴다.
'악귀'는 악귀에 씐 여자와 그 악귀를 볼 수 있는 남자가 의문의 죽음을 파헤치는 한국형 오컬트 미스터리 드라마. '싸인’, ‘유령’, ‘시그널’, ‘킹덤’ 등 집필하는 작품마다 높은 완성도로 흥행을 성공시킨 김은희 작가의 신작으로, 지난 2019년 ‘VIP’를 통해 디테일한 연출력을 보여준 이정림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장르물의 대가로 불리는 김은희 작가의 복귀작이라는 사실에 더해 탄탄한 출연진 역시 눈길을 끈다.
매 작품 전에 없이 새로운 변신을 선보이는 김태리 씨가 악귀와 조우한 뒤 잠재된 욕망에 눈을 뜨는 구산영 캐릭터를 맡았고, 장르불문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이는 배우 오정세 씨는 어머니를 죽인 악귀를 집요하게 추적하는 민속학 교수 염해상 역할로 분한다. 전작 '약한영웅 Class 1'을 통해 대중에게 강렬한 눈도장을 찍었던 홍경 씨는 미스터리 사건들을 쫓는 강력범죄수사대 형사 이홍새로 변신한다.
드라마 '스물다섯 스물하나' 이후 약 1년 만에 안방극장에 복귀한 김태리 씨는 "악귀라는 신선한 소재가 재미 있었다.여기에 청춘이라는 키워드를 녹여낸다고 해서 흥미롭고 궁금했다"라며 작품 참여 계기를 전했다. 그는 12부 내내 작품이 빼곡하게 채워졌다며 대본에 대한 만족감을 덧붙였다.
이정림 감독 역시 "김은희 작가님이 대본에 지문을 디테일하게 써주셔서 즐겁게 작업했다. 대본을 읽는 것만으로 연출에 도움을 받았다"라고 김은희 작가에 대한 신뢰와 믿음을 전했다.
오정세 씨는 "섬뜩한 서사 위에서 악귀를 찾아가는 과정이 안갯속을 걷는 느낌이었다. 궁금증이 생기면 배우들과 함께 숙제를 풀기 위해 노력하고, 작가님에게 묻기도 했다. 저 역시 빼곡한 대본이 흥미로웠다"라고 대본이 지닌 매력을 예고했다.
이어 홍경 씨는 "김은희 작가님과 김태리, 오정세 선배님이 참여하신다는 이야기를 듣고 '언제 출연할 수 있겠나' 싶었다. 설레는 마음으로 함께했다"라며 벅찬 소감을 함께 전했다.
오컬트 장르는 다소 마니악하고 낯설 수 있는 바, 이정림 감독은 '익숙하지만 기묘한 그림'을 그리려 노력했다고 연출 후기를 전했다. 그는 "오컬트라는 장르에 매몰되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서양의 오컬트와 달리 엑소시즘(퇴마)에 대한 부분은 나오지 않고 우리의 민속적인 부분과 설화적인 부분이 더 많이 다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15세 관람가 내에서 할 수 있는 최대치를 내보려고 노력했다. 촬영하다보니 무서움에 익숙해져서 때로는 자극으로 연출하려고 하지 않았나 싶은 부분도 있다. 하지만 세 배우와 작가님 모두 재미있는 사람들이라 무서운 장면이 지나면 유머도 숨어있어서 무섭지 않게 볼 수 있는 드라마 같다"라고 부연했다.
김태리 씨 역시 "한국에서도 이제 오컬트 장르는 많이 익숙해졌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한국적, 동양적 오컬트는 정말 새로운 부분이 있을 것 같다. 이야기를 따라가면서 함께 추리하고 미스터리를 풀어가는 과정을 즐겨주셨으면 좋겠다"라고 설명했다.
'악귀'는 최고 시청률 16.8%(닐슨코리아 전국 기준)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낭만닥터 김사부3'의 후속작으로 방영된다는 점에서, 시청률 예측에 대한 질문이 이어지기도 했다. 이 감독에 따르면 실제 100여 명의 제작진이 함께 하는 대화방에서도 시청률 예측 투표가 진행되고 있다고.
이정림 감독과 김태리 씨는 1,2부 통합 20%대를, 오정세 씨와 홍경 씨는 30%를 희망한다며 작품 흥행에 대한 바람을 전하기도 했다.
믿고 보는 배우들과 제작진이 의기투합하며 기대감을 높이는 '악귀'는 오늘(23일) 밤 10시 첫 방송을 앞두고 있다.
[사진출처 = SBS]
YTN star 김성현 (jamkim@ytn.co.kr)
* YTN star에서는 연예인 및 연예계 종사자들과 관련된 제보를 받습니다.
ytnstar@ytn.co.kr로 언제든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