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역사 왜곡 논란과 함께 논문 표절 인정 후 설민석의 하차로 화제가 됐던 tvN ‘벌거벗은 세계사’가 역사 전문가로부터 또다시 지적받았다.
지난달 31일 박흥식 서울대 서양사학과 교수는 자신의 SNS에 “벌거벗은 세계사에서 흑사병을 다룬다기에 프로그램을 봤다”라며 “흑사병을 10년 넘게 공부했고, 중세 말기 유럽을 전공하는 학자의 입장에서 볼 때 이건 정말 아니다 싶다”라고 말문을 열었다.
박 교수는 “중세 사회에 대한 이해도 거의 없고 당시 사료도 해석할 줄 모르는 한 의사가 시청자들에게 왜곡된 인식만 키웠다”며 “내용도 구성도 꽝이었다”고 혹평했다.
박 교수는 “구체적으로 지적하려 들면 끝도 없을 듯하고 그럴 가치도 없다”며 “설민석이 문제인 줄 알았더니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거의 모든 것이 문제인 듯하다”고 했다. 이어 “힘들게 자문해 주었더니 내가 자문한 내용은 조금도 이용하지 않았다. 그러려면 이름은 왜 넣겠다고 했는지”라며 “미안한 말이지만 이런 식으로 엉터리로 역사적 주제를 전달하려면 프로그램을 당장 폐지해야 옳다”고 했다. 그는 “프로그램 제목에서 세계사라는 단어만이라도 빼서 역사를 다루는 방송이라는 오해를 막아야 할 듯하다”며 “그냥 즐거운 오락물로 바꾸는 것이 좋겠다. 역사가 방송에서 고생이 많다”고 했다.
박 교수는 ‘흑사병과 중세 말기 유럽의 인구문제', ‘흑사병은 도시 피렌체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등의 논문을 쓴 바 있다.
이에 ‘벌거벗은 세계사’ 제작진은 “1월 30일 방영된 페스트 편은 페스트와 관련된 내용을 의학사적인 관점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방송 전 대본과 가편본, 그리고 자막이 들어간 마스터본을 관련 분야의 학자분들께 자문을 받고 검증 절차를 마친 후 방송하였다”라고 해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제작진은 더 좋은 방송을 만들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앞서 ‘설민석의 벌거벗은 세계사’는 지난해 12월 19일 클레오파트라 편이 방영된 이후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였다.
당시 고고학 전문가인 곽민수 한국 이집트학 연구소장은 “사실관계 자체가 틀린 게 너무 많아서 하나하나 언급하기가 힘들 지경”이라고 프로그램을 지적했다. 그는 “제가 자문한 내용은 잘 반영이 안 돼 있는 것 같다”며 “그냥 보지 마시라”고 혹평해 화제가 됐다.
당시 tvN은 “방대한 고대사 자료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일부 오류가 있었던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인정했다. 또 “재발 방지를 위해 자문단을 더 늘리고 다양한 분야의 자문위원 의견을 겸허히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후 설민석 강사가 논문 표절을 인정하며 방송에서 하차했고, 4주간 재정비 기간을 가졌다.
‘벌거벗은 세계사’는 매회 주제와 관련된 각 분야 전문가를 강연자로 초청하는 방식으로 콘셉트를 변경했지만, 첫 방송 이후 또 다시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이며 잡음이 끊이지 않는 모양새다.
YTN star 김성현 기자 (jamkim@ytnplus.co.kr)
[사진 제공 = tvN]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달 31일 박흥식 서울대 서양사학과 교수는 자신의 SNS에 “벌거벗은 세계사에서 흑사병을 다룬다기에 프로그램을 봤다”라며 “흑사병을 10년 넘게 공부했고, 중세 말기 유럽을 전공하는 학자의 입장에서 볼 때 이건 정말 아니다 싶다”라고 말문을 열었다.
박 교수는 “중세 사회에 대한 이해도 거의 없고 당시 사료도 해석할 줄 모르는 한 의사가 시청자들에게 왜곡된 인식만 키웠다”며 “내용도 구성도 꽝이었다”고 혹평했다.
박 교수는 “구체적으로 지적하려 들면 끝도 없을 듯하고 그럴 가치도 없다”며 “설민석이 문제인 줄 알았더니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거의 모든 것이 문제인 듯하다”고 했다. 이어 “힘들게 자문해 주었더니 내가 자문한 내용은 조금도 이용하지 않았다. 그러려면 이름은 왜 넣겠다고 했는지”라며 “미안한 말이지만 이런 식으로 엉터리로 역사적 주제를 전달하려면 프로그램을 당장 폐지해야 옳다”고 했다. 그는 “프로그램 제목에서 세계사라는 단어만이라도 빼서 역사를 다루는 방송이라는 오해를 막아야 할 듯하다”며 “그냥 즐거운 오락물로 바꾸는 것이 좋겠다. 역사가 방송에서 고생이 많다”고 했다.
박 교수는 ‘흑사병과 중세 말기 유럽의 인구문제', ‘흑사병은 도시 피렌체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등의 논문을 쓴 바 있다.
이에 ‘벌거벗은 세계사’ 제작진은 “1월 30일 방영된 페스트 편은 페스트와 관련된 내용을 의학사적인 관점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방송 전 대본과 가편본, 그리고 자막이 들어간 마스터본을 관련 분야의 학자분들께 자문을 받고 검증 절차를 마친 후 방송하였다”라고 해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제작진은 더 좋은 방송을 만들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앞서 ‘설민석의 벌거벗은 세계사’는 지난해 12월 19일 클레오파트라 편이 방영된 이후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였다.
당시 고고학 전문가인 곽민수 한국 이집트학 연구소장은 “사실관계 자체가 틀린 게 너무 많아서 하나하나 언급하기가 힘들 지경”이라고 프로그램을 지적했다. 그는 “제가 자문한 내용은 잘 반영이 안 돼 있는 것 같다”며 “그냥 보지 마시라”고 혹평해 화제가 됐다.
당시 tvN은 “방대한 고대사 자료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일부 오류가 있었던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인정했다. 또 “재발 방지를 위해 자문단을 더 늘리고 다양한 분야의 자문위원 의견을 겸허히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후 설민석 강사가 논문 표절을 인정하며 방송에서 하차했고, 4주간 재정비 기간을 가졌다.
‘벌거벗은 세계사’는 매회 주제와 관련된 각 분야 전문가를 강연자로 초청하는 방식으로 콘셉트를 변경했지만, 첫 방송 이후 또 다시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이며 잡음이 끊이지 않는 모양새다.
YTN star 김성현 기자 (jamkim@ytnplus.co.kr)
[사진 제공 = tvN]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