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농업이 경험과 자연에 의존하던 시대에서 데이터와 인공지능, AI를 활용하는 쪽으로 빠르게 바뀌고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이 이런 시대적인 흐름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AI 융합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최명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전북 김제의 한 스마트 온실입니다.
이곳에서 방울토마토를 재배하는 김기현 농업인은 사람이 아닌 AI 프로그램으로 온실 환경을 관리합니다.
세계 기상 정보와 직접 실측한 작물 생육 데이터를 불러오면, AI가 오늘 필요한 온도와 재배 조건을 스스로 계산해 최적의 온실 운영 기준을 제시합니다.
[김기현 / 스마트팜 농업인 (전북 김제시 부량면) : 경험적인 방법으로는 농장 운영을 할 수가 없어서 그렇다면 이제 정확하게 계측된 값을 활용을 하고 싶다라는 생각이 들었고요. 그래서 AI 프로그램을 도입을 하게 되면서 그런 부분이 해소가 됐습니다.]
이처럼 기존 경험 농업에서 데이터 농업으로의 전환이 빨라지면서, 농촌진흥청이 '농업과학기술 AI 융합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농업이 맞닥뜨린 기후 위기와 노동력 부족, 농촌 소멸 문제를 AI로 해결하겠다는 구상입니다.
농가 소득 20% 증가, 농작업 위험 20% 감소, 기술 개발·보급 기간 30% 단축이 핵심 목표입니다.
특히 AI 비서 'AI 이삭이'를 전국 농가에 확대해 연중 영농 계획부터 병해충 진단, 기상재해 대응까지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
[이승돈 / 농촌진흥청장 : 기후위기와 고령화, 노동력 부족 같은 현재 우리 농업이 직면한 절박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인공지능과 같은 첨단 기술을 농업과학기술에 전격적으로 융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농정 당국은 2027년까지 30억 건의 농업 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해 농산업체 성장의 마중물 역할을 하도록 하겠다는 구상입니다.
YTN 최명신입니다.
영상편집 : 전주영
디자인 : 정하림
YTN 최명신 (mscho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농업이 경험과 자연에 의존하던 시대에서 데이터와 인공지능, AI를 활용하는 쪽으로 빠르게 바뀌고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이 이런 시대적인 흐름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AI 융합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최명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전북 김제의 한 스마트 온실입니다.
이곳에서 방울토마토를 재배하는 김기현 농업인은 사람이 아닌 AI 프로그램으로 온실 환경을 관리합니다.
세계 기상 정보와 직접 실측한 작물 생육 데이터를 불러오면, AI가 오늘 필요한 온도와 재배 조건을 스스로 계산해 최적의 온실 운영 기준을 제시합니다.
[김기현 / 스마트팜 농업인 (전북 김제시 부량면) : 경험적인 방법으로는 농장 운영을 할 수가 없어서 그렇다면 이제 정확하게 계측된 값을 활용을 하고 싶다라는 생각이 들었고요. 그래서 AI 프로그램을 도입을 하게 되면서 그런 부분이 해소가 됐습니다.]
이처럼 기존 경험 농업에서 데이터 농업으로의 전환이 빨라지면서, 농촌진흥청이 '농업과학기술 AI 융합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농업이 맞닥뜨린 기후 위기와 노동력 부족, 농촌 소멸 문제를 AI로 해결하겠다는 구상입니다.
농가 소득 20% 증가, 농작업 위험 20% 감소, 기술 개발·보급 기간 30% 단축이 핵심 목표입니다.
특히 AI 비서 'AI 이삭이'를 전국 농가에 확대해 연중 영농 계획부터 병해충 진단, 기상재해 대응까지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
[이승돈 / 농촌진흥청장 : 기후위기와 고령화, 노동력 부족 같은 현재 우리 농업이 직면한 절박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인공지능과 같은 첨단 기술을 농업과학기술에 전격적으로 융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농정 당국은 2027년까지 30억 건의 농업 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해 농산업체 성장의 마중물 역할을 하도록 하겠다는 구상입니다.
YTN 최명신입니다.
영상편집 : 전주영
디자인 : 정하림
YTN 최명신 (mscho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