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경기도가 축산농가의 사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해병대 제2사단과 협력해 한강하구 자생 갈대 사료화 사업을 4년 만에 재개합니다.
사업대상지는 한강하구 민통선 지역인 김포시 하성면 일대 17ha로 425t의 수확량이 예상됩니다.
도는 수확한 갈대를 축산농가 80여 곳에 지원할 계획입니다.
경기도는 지난 2013년 10월 김포시 군부대 유휴지 야생풀 이용 관련 협약 체결 후 해병대 제2사단, 김포시, 한우협회와 협력해 매년 2회 야생 갈대 수거 작업을 지원해 왔습니다.
그러나 지난 2021년 6월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에서 발생한 민간인 목함지뢰 사고 이후, 부대 경계 지역의 안전 확보를 위해 민간인 출입이 제한되면서 사업이 중단됐습니다.
최근 경기 북부지역은 쌀 수확기(9∼10월) 동안 27일간 지속된 비로 볏짚이 마르지 않아 수거율이 지난해보다 26% 감소했습니다.
이에 따라 조사료 가격이 급등하고, 인근 한우 농가들이 사료 수급에 어려움이 커진 상황입니다.
해병대 제2사단은 이런 문제 해결에 동참하기 위해, 한강하구 경계 지역 내 자생 갈대의 민간 수거를 허용하는 민·관·군 협력사업 재개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YTN 최명신 (mscho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사업대상지는 한강하구 민통선 지역인 김포시 하성면 일대 17ha로 425t의 수확량이 예상됩니다.
도는 수확한 갈대를 축산농가 80여 곳에 지원할 계획입니다.
경기도는 지난 2013년 10월 김포시 군부대 유휴지 야생풀 이용 관련 협약 체결 후 해병대 제2사단, 김포시, 한우협회와 협력해 매년 2회 야생 갈대 수거 작업을 지원해 왔습니다.
그러나 지난 2021년 6월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에서 발생한 민간인 목함지뢰 사고 이후, 부대 경계 지역의 안전 확보를 위해 민간인 출입이 제한되면서 사업이 중단됐습니다.
최근 경기 북부지역은 쌀 수확기(9∼10월) 동안 27일간 지속된 비로 볏짚이 마르지 않아 수거율이 지난해보다 26% 감소했습니다.
이에 따라 조사료 가격이 급등하고, 인근 한우 농가들이 사료 수급에 어려움이 커진 상황입니다.
해병대 제2사단은 이런 문제 해결에 동참하기 위해, 한강하구 경계 지역 내 자생 갈대의 민간 수거를 허용하는 민·관·군 협력사업 재개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YTN 최명신 (mscho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