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사 일주일 만에 뒤늦은 사과...늑장 대응 논란

참사 일주일 만에 뒤늦은 사과...늑장 대응 논란

2025.11.13. 오후 6:0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일주일 만에 해체 공사 발주처인 한국동서발전과 시공사 HJ중공업이 고인과 유족에 사과했습니다.

사고 원인을 밝힐 수사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오태인 기자입니다.

[앵커]
한국동서발전 경영진이 취재진 앞에 머리를 숙입니다.

동서발전은 울산화력발전소를 운영했고, 해체 공사를 발주한 공공기관입니다.

사고가 난 건 일주일 전.

9명이 현장에 투입돼 6명이 숨지자 공식 사과한 겁니다.

[권명호 / 한국동서발전 사장 : 이번 사고로 운명을 달리하신 고인분들에 대해 명복을 빌며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애도의 뜻을 전합니다. 또 국민 여러분께도 심려를 끼쳐드려 매우 송구스럽습니다.]

뒤늦은 사과였지만, 사고 당시 작업 상황이나 원인 등 민감한 내용은 쏙 빠졌습니다.

사과가 늦은 건 구조 때문이었다고 해명했습니다.

해체 공사를 맡은 HJ중공업도 머리를 숙였지만, 향후 사고 수습에 관한 계획이나 방향은 말하지 않았습니다.

[김완석 / HJ중공업 대표이사 : 진작 사과 말씀드리지 못한 것도 실종자 구조가 최우선 과제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하루빨리 구조작업을 마무리한 뒤 다시 저희의 입장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경찰은 사고 원인을 밝히는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해체작업 계획서를 확보하고 해체 계획과 작업 과정 실수 등 관련자 불러 조사하고 있습니다.

조만간 압수수색 등 강제 수사에도 나설 방침입니다.

고용노동부도 이번 사고에 발주처인 한국동서발전이 해체 과정을 감독했다면 책임이 있다며 자세히 따져보겠다고 밝혔습니다.

YTN 오태인입니다.

영상기자 : 전대웅
VJ; 최성경
영상편집 : 박정란

YTN 오태인 (otae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