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배달앱 '땡겨요' 민간 맹추격..."장사할 맛 나요"

공공배달앱 '땡겨요' 민간 맹추격..."장사할 맛 나요"

2025.11.10. 오전 01:0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배달 플랫폼은 요식업에 큰 변화를 가져왔지만, 각종 수수료는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힙니다.

자영업자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출시된 서울시의 공공 배달앱이 좋은 반응을 얻으며 민간 플랫폼 시장을 추격하고 있습니다.

양일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잠실에 맛집 골목으로 유명한 이른바 '송리단길'에서 즉석 떡볶이집을 운영하는 김민수 씨.

많을 땐 매출에 절반이 배달에서 나올 정도로 주문이 밀려들지만, 이것저것 따라붙는 수수료를 제하고 나면 남는 게 별로 없습니다.

[김민수 / 즉석 떡볶이집 사장 : 주문 중개 수수료, 결제 수수료 더하면 10% 내외로 나오고 있고요. 거기에 배달 라이더들한테 들어가는 비용이 또 10% 내외 나오고 있고. 광고비 같은 것까지 다 덧붙이면 (매출액에) 30~35%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민간 플랫폼의 배달 중개수수료는 매출액의 최대 7.8%.

하지만 공공 배달앱 '땡겨요'는 중개수수료가 2%에 불과하고 추가로 부담하는 광고비도 없어 그나마 숨통을 트여주고 있습니다.

[김민수 / 즉석 떡볶이집 사장 : (민간 배달앱과 비교하면) 대략적으로 최소 5%에서 많게는 10%, 더 많게는 15%까지도 차이 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수수료가 워낙 낮다 보니까 흔한 말로 '장사할 맛'이 나는….]

성장세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달 기준, 배달앱 시장점유율 7.5%까지 치고 올라왔습니다.

7개월 만에 5%포인트 가까이 증가한 수치입니다.

공공 배달앱 누적 회원수는 234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50%가 늘었고, 매출액은 3.5배 껑충 뛰었습니다.

더구나 서울시와 정부가 발행한 각종 소비쿠폰과 상품권을 활용하면 최대 30%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어 소비자에게도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서울시는 정책과 지원은 공공에서, 플랫폼 운영은 민간인 신한은행에서 맡는 협업 구조가 성장세에 시너지를 냈다고 평가합니다.

다만, 막강한 자본력을 앞세우는 민간 플랫폼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이 얼마나 끊김 없이 유지되는 지가 관건입니다.

YTN 양일혁입니다.


영상기자: 김광현
디자인: 정민정


YTN 양일혁 (hyu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