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울산 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5호기 붕괴로, 현장에는 아직 구조하지 못한 5명이 매몰된 상태입니다.
3명은 숨진 것으로 추정되고 2명은 실종된 상태인데, 무너진 타워 양옆에 있는 4호기와 6호기를 발파·해체한 뒤 구조작업을 이어갈 예정입니다.
현장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상황 알아보겠습니다.
오승훈 기자!
[기자]
네,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사고 현장에 나와 있습니다.
[앵커]
현장에는 아직 5명이 매몰돼 있는 상황이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제 뒤로 보시는 곳이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사고 현장입니다.
어제와 달리 조명을 모두 꺼둔 상태라 잘 보이지는 않지만, 현장에는 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3개가 있고 중간에 있는 5호기가 폭삭 주저앉은 상태입니다.
현재 붕괴사고 현장에 매몰돼 있는 작업자는 모두 5명입니다.
매몰자 3명의 경우 위치는 파악됐지만, 아직 구조하지 못한 상태인데 1명은 사망, 2명은 사망 추정입니다.
나머지 작업자 2명은 위치조차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현장에 있던 작업자 9명 가운데 현재까지 4명만 구조됐습니다.
이 가운데 2명은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졌고 2명은 중상을 입어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앵커]
붕괴 위험성이 있는 4호기와 6호기는 해체를 서두른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무너진 보일러 타워 5호기의 양옆에 있는 4호기와 6호기에 대해 다음 주 초쯤 서둘러 해체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매몰자를 구조하기 위해서는 크레인 등 중장비를 동원해야 하지만, 인근 타워의 추가 붕괴 위험성 때문에 구조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매몰된 작업자들을 하루빨리 구조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로, 현재 4호기와 6호기에 대한 발파 작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수습본부는 어제 오후부터 필수 인력을 제외한 나머지 인원들에 대해 현장 철수를 지시했습니다.
보일러 타워 4호기와 6호기를 해체한 이후 매몰자에 대한 구조작업을 이어간다는 방침입니다.
또 발파 전까지 구조견과 내시경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등 장비를 동원해 실종된 작업자 2명에 대한 수색은 계속 진행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사고 현장에서 YTN 오승훈입니다.
영상기자 : 권민호
영상편집 : 이정욱
YTN 오승훈 (5w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울산 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5호기 붕괴로, 현장에는 아직 구조하지 못한 5명이 매몰된 상태입니다.
3명은 숨진 것으로 추정되고 2명은 실종된 상태인데, 무너진 타워 양옆에 있는 4호기와 6호기를 발파·해체한 뒤 구조작업을 이어갈 예정입니다.
현장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상황 알아보겠습니다.
오승훈 기자!
[기자]
네,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사고 현장에 나와 있습니다.
[앵커]
현장에는 아직 5명이 매몰돼 있는 상황이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제 뒤로 보시는 곳이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사고 현장입니다.
어제와 달리 조명을 모두 꺼둔 상태라 잘 보이지는 않지만, 현장에는 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3개가 있고 중간에 있는 5호기가 폭삭 주저앉은 상태입니다.
현재 붕괴사고 현장에 매몰돼 있는 작업자는 모두 5명입니다.
매몰자 3명의 경우 위치는 파악됐지만, 아직 구조하지 못한 상태인데 1명은 사망, 2명은 사망 추정입니다.
나머지 작업자 2명은 위치조차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현장에 있던 작업자 9명 가운데 현재까지 4명만 구조됐습니다.
이 가운데 2명은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졌고 2명은 중상을 입어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앵커]
붕괴 위험성이 있는 4호기와 6호기는 해체를 서두른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무너진 보일러 타워 5호기의 양옆에 있는 4호기와 6호기에 대해 다음 주 초쯤 서둘러 해체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매몰자를 구조하기 위해서는 크레인 등 중장비를 동원해야 하지만, 인근 타워의 추가 붕괴 위험성 때문에 구조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매몰된 작업자들을 하루빨리 구조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로, 현재 4호기와 6호기에 대한 발파 작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수습본부는 어제 오후부터 필수 인력을 제외한 나머지 인원들에 대해 현장 철수를 지시했습니다.
보일러 타워 4호기와 6호기를 해체한 이후 매몰자에 대한 구조작업을 이어간다는 방침입니다.
또 발파 전까지 구조견과 내시경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등 장비를 동원해 실종된 작업자 2명에 대한 수색은 계속 진행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사고 현장에서 YTN 오승훈입니다.
영상기자 : 권민호
영상편집 : 이정욱
YTN 오승훈 (5w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