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원도 강릉은 지난 20일부터 계량기 50%를 잠그는 제한 급수에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제한 급수 이후에도 일부 숙박업소는 수영장과 스파까지 운영하며 여전히 많은 물을 사용하고 있어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송세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강릉 한 대형 호텔 수영장의 샤워장.
수돗물 수압을 50% 줄였다고 하지만, 물줄기는 여전히 강하게 쏟아집니다.
[투숙객 : (객실 화장실과 샤워실에서) 물이 콸콸 나오던데요.]
수영장과 사우나를 함께 운영 중인 인근 호텔도 마찬가지입니다.
투숙객들은 전혀 불편을 느끼지 못할 정도로 객실에서 물이 잘 나왔다고 말합니다.
[투숙객 : 가뭄인지도 모르겠던데요.]
일부 펜션들도 객실 내 스파 시설까지 정상 운영하고 있습니다.
[펜션 관계자 : 스파는 따로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스파는 물을 재사용할 수 없어요.]
지난 20일부터 시작된 수도 계량기 5만3천여 개의 50% 잠금 조치 진행률은 87%를 넘었습니다.
하지만 하루 생활용수 사용량은 8만6천여 톤으로 불과 7.7%인 7천여 톤 줄어드는 데 그쳤습니다.
한 카페 수도 계량기입니다. 50% 잠금 조치를 완료했다는 스티커가 붙어 있습니다.
하지만 물을 틀어봐도 수압 변화는 거의 없습니다.
자율로 추가 조정하는 업소가 많지 않은 데다, 잠금 조치 이후 실제 수압을 점검하는 절차도 없습니다.
[식당 관계자 : 걱정을 많이 했는데, 잠그고 나서도 큰 차이가 없는 것 같아서….]
강릉시는 여러 수도꼭지를 동시에 틀 경우 수압 감소가 체감된다며 잠금 조치를 지키지 않아도 강제할 수단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봉저수지 저수율이 15% 이하로 떨어지면 계량기를 75%까지 잠근다는 계획이지만, 얼마나 절수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강릉지역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물티슈 청소와 빨래 모아 하기, 샤워 시간 줄이기 등 절수 아이디어가 공유되고 있습니다.
대부분 시민이 불편을 감수하며 물 절약에 동참하고 있지만, 일부 업소의 무분별한 물 사용은 이런 노력을 무색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YTN 송세혁입니다.
YTN 송세혁 (shso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원도 강릉은 지난 20일부터 계량기 50%를 잠그는 제한 급수에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제한 급수 이후에도 일부 숙박업소는 수영장과 스파까지 운영하며 여전히 많은 물을 사용하고 있어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송세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강릉 한 대형 호텔 수영장의 샤워장.
수돗물 수압을 50% 줄였다고 하지만, 물줄기는 여전히 강하게 쏟아집니다.
[투숙객 : (객실 화장실과 샤워실에서) 물이 콸콸 나오던데요.]
수영장과 사우나를 함께 운영 중인 인근 호텔도 마찬가지입니다.
투숙객들은 전혀 불편을 느끼지 못할 정도로 객실에서 물이 잘 나왔다고 말합니다.
[투숙객 : 가뭄인지도 모르겠던데요.]
일부 펜션들도 객실 내 스파 시설까지 정상 운영하고 있습니다.
[펜션 관계자 : 스파는 따로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스파는 물을 재사용할 수 없어요.]
지난 20일부터 시작된 수도 계량기 5만3천여 개의 50% 잠금 조치 진행률은 87%를 넘었습니다.
하지만 하루 생활용수 사용량은 8만6천여 톤으로 불과 7.7%인 7천여 톤 줄어드는 데 그쳤습니다.
한 카페 수도 계량기입니다. 50% 잠금 조치를 완료했다는 스티커가 붙어 있습니다.
하지만 물을 틀어봐도 수압 변화는 거의 없습니다.
자율로 추가 조정하는 업소가 많지 않은 데다, 잠금 조치 이후 실제 수압을 점검하는 절차도 없습니다.
[식당 관계자 : 걱정을 많이 했는데, 잠그고 나서도 큰 차이가 없는 것 같아서….]
강릉시는 여러 수도꼭지를 동시에 틀 경우 수압 감소가 체감된다며 잠금 조치를 지키지 않아도 강제할 수단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봉저수지 저수율이 15% 이하로 떨어지면 계량기를 75%까지 잠근다는 계획이지만, 얼마나 절수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강릉지역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물티슈 청소와 빨래 모아 하기, 샤워 시간 줄이기 등 절수 아이디어가 공유되고 있습니다.
대부분 시민이 불편을 감수하며 물 절약에 동참하고 있지만, 일부 업소의 무분별한 물 사용은 이런 노력을 무색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YTN 송세혁입니다.
YTN 송세혁 (shso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