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폭염의 기세가 절정을 향하고 있습니다.
온열 질환도 가파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는데요.
특히 한낮에 논밭이나 비닐하우스에서 농사일을 하다가 쓰러지는 일이 심심찮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현장 연결합니다. 이윤재 기자!
[기자]
네, 경북 김천 조마면, 포도밭에 나와 있습니다.
[앵커]
김천도 폭염경보가 이어지고 있는데, 그곳 상황은 어떤가요?
[기자]
네, 제가 있는 곳은 포도밭입니다.
샤인머스캣을 기르는 비닐하우스 안쪽인데요.
온도계를 보면 40.1도를 가리키고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등줄기에 땀이 줄줄 흘러내릴 정도로 덥습니다.
조금만 움직여도 옷이 흠뻑 젖을 정도인데요.
폭염 상황, 열기가 모이는 비닐하우스 안에서 작업하는 것은 정말 위험하겠다는 생각이 절로 들었습니다.
이곳까지 오면서 주위의 논밭을 둘러봤는데요.
역시나 농민들이 일하는 모습은 찾아보기 어려웠습니다.
경상북도와 김천시는 한낮 농사일을 피해야 한다고 안내도 하고, 경로당 같은 무더위 쉼터를 이용하라는 안내도 수시로 하고 있습니다.
또, 폭염 피해 예방 활동의 하나로 농민들에게 물을 나눠주고 있습니다.
지자체의 이런 활동에도 워낙 무더운 날씨에 고령자가 많은 농촌에서는 온열 질환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그제, 그러니까 지난 26일까지 집계된 자료를 보면 온열 질환 환자는 전국에 2천300명이 넘고, 사망자도 11명에 이릅니다.
전문가들 말을 들어보면 온열 질환은 더위가 여러 날 길게 이어질 때 더 많이 발생합니다.
이곳 김천도 지난 22일을 시작으로 폭염경보가 계속되고 있는데요.
온열 질환 발생 위험도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농민들 말을 들어보니 새벽 4시면 일어나 작업을 하고, 오전 10시 정도면 거의 작업을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렇게 폭염특보가 내려졌을 때는 한낮에 야외 활동을 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또 물을 자주 마시고, 마을회관이나 은행처럼 시원한 곳에서 자주 쉬어야 온열 질환을 피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북 김천에서 YTN 이윤재입니다.
YTN 이윤재 (lyj102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폭염의 기세가 절정을 향하고 있습니다.
온열 질환도 가파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는데요.
특히 한낮에 논밭이나 비닐하우스에서 농사일을 하다가 쓰러지는 일이 심심찮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현장 연결합니다. 이윤재 기자!
[기자]
네, 경북 김천 조마면, 포도밭에 나와 있습니다.
[앵커]
김천도 폭염경보가 이어지고 있는데, 그곳 상황은 어떤가요?
[기자]
네, 제가 있는 곳은 포도밭입니다.
샤인머스캣을 기르는 비닐하우스 안쪽인데요.
온도계를 보면 40.1도를 가리키고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등줄기에 땀이 줄줄 흘러내릴 정도로 덥습니다.
조금만 움직여도 옷이 흠뻑 젖을 정도인데요.
폭염 상황, 열기가 모이는 비닐하우스 안에서 작업하는 것은 정말 위험하겠다는 생각이 절로 들었습니다.
이곳까지 오면서 주위의 논밭을 둘러봤는데요.
역시나 농민들이 일하는 모습은 찾아보기 어려웠습니다.
경상북도와 김천시는 한낮 농사일을 피해야 한다고 안내도 하고, 경로당 같은 무더위 쉼터를 이용하라는 안내도 수시로 하고 있습니다.
또, 폭염 피해 예방 활동의 하나로 농민들에게 물을 나눠주고 있습니다.
지자체의 이런 활동에도 워낙 무더운 날씨에 고령자가 많은 농촌에서는 온열 질환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그제, 그러니까 지난 26일까지 집계된 자료를 보면 온열 질환 환자는 전국에 2천300명이 넘고, 사망자도 11명에 이릅니다.
전문가들 말을 들어보면 온열 질환은 더위가 여러 날 길게 이어질 때 더 많이 발생합니다.
이곳 김천도 지난 22일을 시작으로 폭염경보가 계속되고 있는데요.
온열 질환 발생 위험도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농민들 말을 들어보니 새벽 4시면 일어나 작업을 하고, 오전 10시 정도면 거의 작업을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렇게 폭염특보가 내려졌을 때는 한낮에 야외 활동을 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또 물을 자주 마시고, 마을회관이나 은행처럼 시원한 곳에서 자주 쉬어야 온열 질환을 피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북 김천에서 YTN 이윤재입니다.
YTN 이윤재 (lyj102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