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두부와 장류를 만드는 국내 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올해 콩 수입량이 급감하면서 원료가 떨어져 가고 있기 때문인데요,
관련 업계에서는 지금 계약을 하지 않으면 가을에는 가동을 중단해야 할 처지라며, 발만 동동 구르고 있습니다.
김범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두부와 콩물 등을 만드는 공장입니다.
가업을 잇고 있는 이곳 대표는 요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장기적인 원료 확보에 비상이 걸렸기 때문입니다.
[오재면 / 광주 식품기업 대표: 국내에서 생산되는 두부 중 80%는 수입 콩으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10월 중순경이면 원료가 소진돼 수입 콩 공급이 중단되면 수입 콩 위주로 하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은 폐업할 위기에 처해질 수도 있습니다.]
올해 계획된 콩 수입량은 24만 8천3백여 톤으로, 지난해보다 3만 7천여 톤이 줄었습니다.
식용 대두와 콩나물 콩 등 올해 줄어드는 수입 콩의 양은 지난해의 13% 정도나 됩니다.
정부가 콩 수입량을 줄이기로 한 것은 생산량이 늘어난 국산 콩 소비를 늘리기 위해서입니다.
[김경은 / 농림축산식품부 전략작물육성팀장: 최근에 콩 생산량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그러다 보니 국내에 콩이 충분히 많이 있다고 판단해 의무 수입량만 수입하고 증량분은 수입하지 않기로 결정을 했습니다.]
하지만 두부나 콩물 등 '콩류 식품' 업계에서는 수입 콩과 국산 콩으로 만든 제품의 소비 구조가 전혀 다르다는 입장입니다.
시장이 이미 나뉘어 있으므로 콩 수입을 줄이는 것이 국산 콩 소비로 바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겁니다.
[문항재 / 광주전남연식품공업협동조합 상근이사: 수입 콩은 단가가 저렴해 소상공인과 단체급식 등으로 보편적으로 공급되지만, 국산 콩은 소비자가 선택해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차별화가 됩니다.]
통관 등으로 2∼3개월이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지금 당장 물량 확보가 절실한 상황.
가공용 수입 대두를 쓰는 중소기업은 낮은 관세를 적용하는 할당물량을 확대해 가동 중단 사태가 벌어지지 않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YTN 김범환입니다.
YTN 김범환 (kimb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두부와 장류를 만드는 국내 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올해 콩 수입량이 급감하면서 원료가 떨어져 가고 있기 때문인데요,
관련 업계에서는 지금 계약을 하지 않으면 가을에는 가동을 중단해야 할 처지라며, 발만 동동 구르고 있습니다.
김범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두부와 콩물 등을 만드는 공장입니다.
가업을 잇고 있는 이곳 대표는 요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장기적인 원료 확보에 비상이 걸렸기 때문입니다.
[오재면 / 광주 식품기업 대표: 국내에서 생산되는 두부 중 80%는 수입 콩으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10월 중순경이면 원료가 소진돼 수입 콩 공급이 중단되면 수입 콩 위주로 하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은 폐업할 위기에 처해질 수도 있습니다.]
올해 계획된 콩 수입량은 24만 8천3백여 톤으로, 지난해보다 3만 7천여 톤이 줄었습니다.
식용 대두와 콩나물 콩 등 올해 줄어드는 수입 콩의 양은 지난해의 13% 정도나 됩니다.
정부가 콩 수입량을 줄이기로 한 것은 생산량이 늘어난 국산 콩 소비를 늘리기 위해서입니다.
[김경은 / 농림축산식품부 전략작물육성팀장: 최근에 콩 생산량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그러다 보니 국내에 콩이 충분히 많이 있다고 판단해 의무 수입량만 수입하고 증량분은 수입하지 않기로 결정을 했습니다.]
하지만 두부나 콩물 등 '콩류 식품' 업계에서는 수입 콩과 국산 콩으로 만든 제품의 소비 구조가 전혀 다르다는 입장입니다.
시장이 이미 나뉘어 있으므로 콩 수입을 줄이는 것이 국산 콩 소비로 바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겁니다.
[문항재 / 광주전남연식품공업협동조합 상근이사: 수입 콩은 단가가 저렴해 소상공인과 단체급식 등으로 보편적으로 공급되지만, 국산 콩은 소비자가 선택해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차별화가 됩니다.]
통관 등으로 2∼3개월이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지금 당장 물량 확보가 절실한 상황.
가공용 수입 대두를 쓰는 중소기업은 낮은 관세를 적용하는 할당물량을 확대해 가동 중단 사태가 벌어지지 않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YTN 김범환입니다.
YTN 김범환 (kimb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