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이주민들이 복잡한 서류와 의사소통의 문제 등으로 공공서비스 이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도는 오늘(22일) 도청에서 '경기도 이주민의 공공기관 이용 실태조사' 중간보고회를 열었습니다.
지난 5∼6월 이주민 494명을 대상으로 이뤄진 실태조사에서 이주민들은 공공서비스 이용 때 어려움으로 복잡한 서류(61.5%), 의사소통(57.2%), 정보 부족(50.2%) 등을 꼽았습니다.
이주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공공서비스는 체류(비자) 80.9%, 도서관과 우체국 이용 71.5%, 주민센터 등 민원행정 70.3%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설문조사와 병행한 면접조사에서는 '과잉 조사와 무시 등 이주민에 대한 차별을 경험했다', '온라인 서비스의 경우 회원가입 등 접근 장벽이 너무 높다', '다국어 서비스가 필요하다' 등의 의견이 많았습니다.
이번 조사는 장기체류 외국인과 귀화자 등 이주민의 공공기관 접근성과 이용 경험을 심층 분석해 사회통합 정책 수립에 반영하고자 이뤄졌습니다.
조사를 주관한 경기도이민사회통합지원센터는 하반기 최종보고회를 열고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정책 제언을 할 예정입니다.
도는 설문조사와 정책 제언을 바탕으로 제도 개선을 꾀할 방침입니다.
허영길 경기도 이민사회정책과장은 "이주민이 공공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겪는 불편과 어려움을 체계적으로 파악해 실질적 개선책이 마련하는 것이 이번 조사의 핵심"이라고 말했습니다.
YTN 최명신 (mscho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경기도는 오늘(22일) 도청에서 '경기도 이주민의 공공기관 이용 실태조사' 중간보고회를 열었습니다.
지난 5∼6월 이주민 494명을 대상으로 이뤄진 실태조사에서 이주민들은 공공서비스 이용 때 어려움으로 복잡한 서류(61.5%), 의사소통(57.2%), 정보 부족(50.2%) 등을 꼽았습니다.
이주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공공서비스는 체류(비자) 80.9%, 도서관과 우체국 이용 71.5%, 주민센터 등 민원행정 70.3%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설문조사와 병행한 면접조사에서는 '과잉 조사와 무시 등 이주민에 대한 차별을 경험했다', '온라인 서비스의 경우 회원가입 등 접근 장벽이 너무 높다', '다국어 서비스가 필요하다' 등의 의견이 많았습니다.
이번 조사는 장기체류 외국인과 귀화자 등 이주민의 공공기관 접근성과 이용 경험을 심층 분석해 사회통합 정책 수립에 반영하고자 이뤄졌습니다.
조사를 주관한 경기도이민사회통합지원센터는 하반기 최종보고회를 열고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정책 제언을 할 예정입니다.
도는 설문조사와 정책 제언을 바탕으로 제도 개선을 꾀할 방침입니다.
허영길 경기도 이민사회정책과장은 "이주민이 공공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겪는 불편과 어려움을 체계적으로 파악해 실질적 개선책이 마련하는 것이 이번 조사의 핵심"이라고 말했습니다.
YTN 최명신 (mscho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