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휩쓴 대형 산불 두 달째..."마을 재건 본격 추진"

경북 휩쓴 대형 산불 두 달째..."마을 재건 본격 추진"

2025.05.24. 오전 01:2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산불 두 달째…주택 소실 주민, 건축비 마련 ’막막’
산사태도 걱정…"바람만 불어도 흙·돌 떨어져"
"주택단지 조성 추진…주민 건축비 부담 줄어"
AD
[앵커]
경북 북부를 휩쓴 대형 산불이 발생한 지 두 달이 지났습니다.

불에 탄 집과 창고들이 대부분 철거되면서 마을 재건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이윤재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시골 마을, 텅 빈 집터에 덩그러니 항아리만 남았습니다.

지난 3월, 산불로 무너진 집을 철거하고 빈터만 남은 겁니다.

이 마을에 있던 주택 122채 가운데 절반이 넘는 64채가 불에 타 마을이 이렇게 휑하게 변해버렸습니다.

주민들은 마을 한쪽, 컨테이너 임시주택에서 힘겨운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집을 새로 지어야 하지만, 당장 자금 마련이 막막하기만 합니다.

[박금자 / 경북 의성군 단촌면 : 집 짓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해주셔야 해요. 아니면 집을 지을 수가 없어요. 그리고 창고 같은 거도 비용이 너무 많이 들잖아요. 뭐 자잿값도 너무 비싸다고 하니까….]

산사태 같은 2차 피해도 걱정입니다.

나무가 사라진 산에는 바람만 불어도 돌이나 흙이 굴러떨어집니다.

[류시국 / 경북 의성군 단촌면 : 불에 타서 지금 흙들이 힘이 없어요. 지금 바람만 불어도 슬슬 내려온다고. 비가 오면 나무들이 다 죽었으니까 물을 흡수를 못 하잖아요. 그러면 물이 그대로 내려오고 그게 겁나는 거지.]

경상북도와 의성군은 흩어져 있던 집을 한데 모은 주택단지 조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지자체가 기반시설을 조성해 주민의 건축비 부담을 덜고, 공동시설도 쉽게 이용하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또 공동 영농 방식을 도입해 농사 부담도 줄여준다는 복안입니다.

[이철우 / 경상북도지사 : 살기 편한 지역으로 모아서 거기에 복지시설, 그러니까 공동 취사라든지 보건소라든지 문화시설, 또 힐링할 공간, 이런 것들을 만들어주면 이분들이 살기도 편안하고….]

다만, 집터 이전을 꺼리는 주민을 설득하고, 주택 단지 조성에 근거가 될 이른바 '산불특별법' 제정 등은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있습니다.

YTN 이윤재입니다.


영상기자 : 전기호



YTN 이윤재 (lyj102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