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경기도 연천군 임진강에서 여름철 집중호우와 북한의 황강댐 무단방류에 대비한 주민대피 훈련이 진행됐습니다.
임진강 범람에 대비해 현장 대응 능력을 높이는 데 중점을 뒀습니다.
최기성 기자입니다.
[기자]
임진교 부근에서 다슬기를 채취하다 고립된 주민을 구하러 119구조대가 긴급 출동합니다.
신속하게 도착한 구조대원이 위험에 처한 주민을 안전지대로 이동시킵니다.
본격적인 여름 장마철을 앞두고, 집중호우로 임진강 수위가 높아진 상황을 가정한 훈련입니다.
경기도와 연천군 등 6개 기관과 단체 관계자 130여 명이 참여했습니다.
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부터 주민 구조, 취약계층 사전대피, 재난안전통신망을 활용한 상황 전파까지 대응 상황을 시연했습니다.
[방영희 /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주민 : (훈련) 필요성을 많이 느꼈어요. 재난에 대처해야 한다는 것도 오늘 사실은 많이 느꼈어요. 그래서 좋았던 거 같아요. 오늘 훈련을 이렇게 한 게….]
임진강 유역은 북한 황강댐의 무단 방류로 인한 범람 위험에 자주 노출된 곳입니다.
북한은 2001년 이후 빈번하게 황강댐 물을 무단 방류하고 있고, 2009년에는 야영객 6명이 숨지기도 했습니다.
경기도는 이에 대응해 지난해 12월 '홍수특보 위험단계별 주요 임무'를 시·군에 통보해 행동 지침을 세우도록 했습니다.
[강성습 / 경기도 건설국장 : 이번 훈련은 이런 계획들이 현장에서 잘 작동할 수 있도록 연습하는 것으로 그것이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훈련을 참관한 경기도와 31개 시·군 하천 재해대책 담당 공무원들은 부족한 점을 찾아 대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YTN 최기성입니다.
영상편집: 임현철
영상협조: 경기도청
YTN 최기성 (choiks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경기도 연천군 임진강에서 여름철 집중호우와 북한의 황강댐 무단방류에 대비한 주민대피 훈련이 진행됐습니다.
임진강 범람에 대비해 현장 대응 능력을 높이는 데 중점을 뒀습니다.
최기성 기자입니다.
[기자]
임진교 부근에서 다슬기를 채취하다 고립된 주민을 구하러 119구조대가 긴급 출동합니다.
신속하게 도착한 구조대원이 위험에 처한 주민을 안전지대로 이동시킵니다.
본격적인 여름 장마철을 앞두고, 집중호우로 임진강 수위가 높아진 상황을 가정한 훈련입니다.
경기도와 연천군 등 6개 기관과 단체 관계자 130여 명이 참여했습니다.
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부터 주민 구조, 취약계층 사전대피, 재난안전통신망을 활용한 상황 전파까지 대응 상황을 시연했습니다.
[방영희 /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주민 : (훈련) 필요성을 많이 느꼈어요. 재난에 대처해야 한다는 것도 오늘 사실은 많이 느꼈어요. 그래서 좋았던 거 같아요. 오늘 훈련을 이렇게 한 게….]
임진강 유역은 북한 황강댐의 무단 방류로 인한 범람 위험에 자주 노출된 곳입니다.
북한은 2001년 이후 빈번하게 황강댐 물을 무단 방류하고 있고, 2009년에는 야영객 6명이 숨지기도 했습니다.
경기도는 이에 대응해 지난해 12월 '홍수특보 위험단계별 주요 임무'를 시·군에 통보해 행동 지침을 세우도록 했습니다.
[강성습 / 경기도 건설국장 : 이번 훈련은 이런 계획들이 현장에서 잘 작동할 수 있도록 연습하는 것으로 그것이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훈련을 참관한 경기도와 31개 시·군 하천 재해대책 담당 공무원들은 부족한 점을 찾아 대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YTN 최기성입니다.
영상편집: 임현철
영상협조: 경기도청
YTN 최기성 (choiks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