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서울시는 저층 주거지의 정비를 방해하는 각종 제한을 시대 변화에 맞춰 유연하게 바꾸기 위해 1종 전용·일반 주거지역에 대한 재검토와 개선안 마련에 착수한다고 밝혔습니다.
서울 전체 주거지 면적의 약 22%를 차지하는 1종 전용·일반 주거지역은 대표적인 저층 주거지로 대부분 구릉지에 있거나 중복 규제를 받는 등 제도 개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
시는 용역을 통해 저층 주거지역 정비를 방해하는 각종 제한을 전면 재검토하고 선제적으로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할 방침입니다.
먼저 제1종전용주거지역의 건축 제한을 재정비합니다.
오랫동안 유지돼 온 전용주거지역의 층수·높이 제한의 해제 필요성을 검토하고 지역 여건과 무관하게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문제점 등을 개선합니다.
1종 전용주거지역은 1972년 높이 제한 규정이 신설된 후 50여 년이 지났지만, 현재도 신설 당시 규정을 그대로 적용하는 등 시대 흐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 전용주거지역의 지역별 특성 등을 조사해 유지 또는 용도지역 조정 필요성을 검토하고 변화된 여건에 합리적으로 대응하는 새로운 관리 방향을 다각적으로 제시할 예정입니다.
전용주거지역 내 비주거시설 증가, 도로·주차장 등 기반시설 부족으로 인해 주거 환경이 악화하고 있으며 주변 지역 고층 개발에서 소외됨에 따라 지역 주민의 상대적 박탈감 또한 증가해왔습니다.
1종 일반주거지역 역시 주택 노후화와 기반 시설 불량을 해소하기 위해 제도 개선안을 마련한다. 유형 분석·필요 시설 실태조사를 통해 저층 주거지 특화 가이드라인도 만듭니다.
1종 일반주거지역은 주로 구릉지에 입지하고 좁은 골목에 다세대·다가구주택이 밀집해있는 지역이 대다수입니다.
이로 인해 주차난이 심각하고 차량 진출입이 어려워 화재 등에 취약하며 주민 편의시설도 부족한 상태입니다.
용역은 입찰 공고와 제안서 접수·평가를 거쳐 이달 중 착수합니다.
시는 도시계획·건축·교통 등 분야별 전문가 자문과 자치구와의 소통을 통해 합리적인 관리 방안 마련에 주력할 방침입니다.
YTN 김종균 (chong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서울 전체 주거지 면적의 약 22%를 차지하는 1종 전용·일반 주거지역은 대표적인 저층 주거지로 대부분 구릉지에 있거나 중복 규제를 받는 등 제도 개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
시는 용역을 통해 저층 주거지역 정비를 방해하는 각종 제한을 전면 재검토하고 선제적으로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할 방침입니다.
먼저 제1종전용주거지역의 건축 제한을 재정비합니다.
오랫동안 유지돼 온 전용주거지역의 층수·높이 제한의 해제 필요성을 검토하고 지역 여건과 무관하게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문제점 등을 개선합니다.
1종 전용주거지역은 1972년 높이 제한 규정이 신설된 후 50여 년이 지났지만, 현재도 신설 당시 규정을 그대로 적용하는 등 시대 흐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 전용주거지역의 지역별 특성 등을 조사해 유지 또는 용도지역 조정 필요성을 검토하고 변화된 여건에 합리적으로 대응하는 새로운 관리 방향을 다각적으로 제시할 예정입니다.
전용주거지역 내 비주거시설 증가, 도로·주차장 등 기반시설 부족으로 인해 주거 환경이 악화하고 있으며 주변 지역 고층 개발에서 소외됨에 따라 지역 주민의 상대적 박탈감 또한 증가해왔습니다.
1종 일반주거지역 역시 주택 노후화와 기반 시설 불량을 해소하기 위해 제도 개선안을 마련한다. 유형 분석·필요 시설 실태조사를 통해 저층 주거지 특화 가이드라인도 만듭니다.
1종 일반주거지역은 주로 구릉지에 입지하고 좁은 골목에 다세대·다가구주택이 밀집해있는 지역이 대다수입니다.
이로 인해 주차난이 심각하고 차량 진출입이 어려워 화재 등에 취약하며 주민 편의시설도 부족한 상태입니다.
용역은 입찰 공고와 제안서 접수·평가를 거쳐 이달 중 착수합니다.
시는 도시계획·건축·교통 등 분야별 전문가 자문과 자치구와의 소통을 통해 합리적인 관리 방안 마련에 주력할 방침입니다.
YTN 김종균 (chong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