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서울시민 가구당 총자산은 약 9억5천만 원이고 대출액은 평균 9천여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는 시내 382만 가구의 빅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서울시민 라이프스타일 재현 데이터'를 처음 공개했습니다.
해당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서울시 가구당 평균 총자산 평가금액은 9억5,361만 원, 평균 대출금액은 9,210만 원, 연평균 소득은 7,369만 원이었습니다.
가구주 연령대별 부채상환 위험률은 1인·다인 가구 모두 청년이 각각 27.0%와 21.4%로 가장 높았습니다.
청년 1인 가구는 전체 소비의 53.7%를 전자상거래와 요식에 할애했습니다.
노인 1인 가구는 소형유통점과 의료에 소비의 47.0%를 사용했습니다.
재현 데이터는 실제 데이터와 통계적 특성이 유사해 실제 데이터를 분석한 것과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인공적으로 재현해 생성한 가상 데이터를 말합니다.
서울시민 라이프스타일 재현데이터는 빅데이터캠퍼스(bigdata.seoul.go.kr)에 이용 신청하면 누구나 본원과 8개 분원을 직접 방문해서 볼 수 있습니다.
YTN 김종균 (chong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서울시는 시내 382만 가구의 빅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서울시민 라이프스타일 재현 데이터'를 처음 공개했습니다.
해당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서울시 가구당 평균 총자산 평가금액은 9억5,361만 원, 평균 대출금액은 9,210만 원, 연평균 소득은 7,369만 원이었습니다.
가구주 연령대별 부채상환 위험률은 1인·다인 가구 모두 청년이 각각 27.0%와 21.4%로 가장 높았습니다.
청년 1인 가구는 전체 소비의 53.7%를 전자상거래와 요식에 할애했습니다.
노인 1인 가구는 소형유통점과 의료에 소비의 47.0%를 사용했습니다.
재현 데이터는 실제 데이터와 통계적 특성이 유사해 실제 데이터를 분석한 것과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인공적으로 재현해 생성한 가상 데이터를 말합니다.
서울시민 라이프스타일 재현데이터는 빅데이터캠퍼스(bigdata.seoul.go.kr)에 이용 신청하면 누구나 본원과 8개 분원을 직접 방문해서 볼 수 있습니다.
YTN 김종균 (chong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