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고질적인 수도권 출퇴근 교통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GTX 등 신규 철도망을 조속히 확정하고 주요 도로를 지하화하는 방안이 추진됩니다.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는 오늘 경기도 인재개발원에서 공청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40 수도권 광역도시계획' 초안을 발표했습니다.
광역도시계획은 도시계획 체계상 최상위 계획이자 광역계획권의 장기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계획으로, 3개 시·도는 광역도시계획협의회를 구성하고 2019년 3월부터 4년여간 공동연구를 진행해 이번 초안을 마련했습니다.
2040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은 인구 2천600만 명이 거주하는 수도권의 미래상을 '살기 좋고 국제경쟁력을 갖춘 상생·통합의 수도권'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10대 핵심 과제를 담았습니다.
우선 김포골드라인 사태로 대표되는 수도권 주민의 출퇴근 불편을 해소하는 광역교통수단 확충입니다.
GTX-A·B·C 조기 건설을 추진하고 연장 필요성을 검토, GTX-D 신규노선과 GTX-E·F 노선안도 조속히 확정키로 했습니다.
이는 3개 시·도가 설정한 목표로, 구체적인 계획과 노선은 국토교통부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 확정됩니다.
또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경부간선도로, 동부간선도로와 경인선, 경부선을 대상으로 추진 중인 지하화 사업에 속도를 냅니다.
지하화를 통해 여유가 생긴 상부공간은 녹지화해 공공을 위한 공간을 조성합니다.
현재 단절된 한북·한남정맥 등 주요 산줄기와 연안, DMZ, 광역녹지·하천, 개발제한구역, 도시공원 등을 연계해 광역생태축을 설정하고 생태 복원에도 힘씁니다.
통합교통서비스(MaaS) 운영 시스템도 마련합니다.
수도권 공동 교통수단 통합결제 플랫폼을 구축하고 수요응답형 대중교통(DRT)과 도심항공교통(UAM)을 확대합니다.
특히 수상 교통수단으로 한강에 리버버스를 도입합니다.
생태자원을 활용한 DMZ평화생태관광루트, 녹지축과 연계한 한북·한남정맥 하이킹루트, 수계축을 기반으로 한 한강변 여가관광루트·서해안 해양레저루트·안성천 자전거루트 등을 추진합니다.
도심지 내 개발 가용지가 부족한 점을 고려해 이미 조성된 복합환승센터와 차량기지를 입체복합 개발합니다.
서울역, 청량리, 삼성, 대곡, 용인, 수원, 계양, 부평 등 주요 GTX 역과 수서, 신내, 수색, 구로, 방화, 귤현 등 도시철도 차량기지가 해당합니다.
수도권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분야별 산업벨트를 구축합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부평을 지나 서울 마곡·여의도·용산·청량리·홍릉·삼성·잠실·강남·양재를 글로벌 비즈니스 벨트로 묶어 첨단산업기지로 육성합니다
한강, 서해뱃길 등 해양·수변공간 이용을 활성화합니다.
여의도에 국제여객터미널인 서울항을 조성하고 한강∼경인아라뱃길 유람선 운항을 확대합니다.
서해연안에는 해양환경체험관 등을 만들고 DMZ와 연계한 유람선 시범운행도 추진합니다.
2040 계획에서 서울·의정부·수원·인천은 사회·경제·산업 등 수도권의 종합적 중심이 되는 광역거점도시로 설정했습니다.
또 남양주·고양·성남·화성을 권역거점도시, 파주·부천·안양을 지역거점도시, 포천·강화·양평·이천을 지구거점도시, 하남·김포·용인을 전략거점도시로 정했습니다.
3개 시·도는 이번 계획을 바탕으로 세계 대도시권 중 경제 규모를 현재 5위에서 2040년 3위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입니다.
계획안은 공청회에 이어 지방의회 의견 청취와 시·도 도시계획위원회 자문 절차를 거쳐 국토부에 제출되며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후 최종 확정됩니다.
YTN 김종균 (chong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는 오늘 경기도 인재개발원에서 공청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40 수도권 광역도시계획' 초안을 발표했습니다.
광역도시계획은 도시계획 체계상 최상위 계획이자 광역계획권의 장기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계획으로, 3개 시·도는 광역도시계획협의회를 구성하고 2019년 3월부터 4년여간 공동연구를 진행해 이번 초안을 마련했습니다.
2040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은 인구 2천600만 명이 거주하는 수도권의 미래상을 '살기 좋고 국제경쟁력을 갖춘 상생·통합의 수도권'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10대 핵심 과제를 담았습니다.
우선 김포골드라인 사태로 대표되는 수도권 주민의 출퇴근 불편을 해소하는 광역교통수단 확충입니다.
GTX-A·B·C 조기 건설을 추진하고 연장 필요성을 검토, GTX-D 신규노선과 GTX-E·F 노선안도 조속히 확정키로 했습니다.
이는 3개 시·도가 설정한 목표로, 구체적인 계획과 노선은 국토교통부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 확정됩니다.
또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경부간선도로, 동부간선도로와 경인선, 경부선을 대상으로 추진 중인 지하화 사업에 속도를 냅니다.
지하화를 통해 여유가 생긴 상부공간은 녹지화해 공공을 위한 공간을 조성합니다.
현재 단절된 한북·한남정맥 등 주요 산줄기와 연안, DMZ, 광역녹지·하천, 개발제한구역, 도시공원 등을 연계해 광역생태축을 설정하고 생태 복원에도 힘씁니다.
통합교통서비스(MaaS) 운영 시스템도 마련합니다.
수도권 공동 교통수단 통합결제 플랫폼을 구축하고 수요응답형 대중교통(DRT)과 도심항공교통(UAM)을 확대합니다.
특히 수상 교통수단으로 한강에 리버버스를 도입합니다.
생태자원을 활용한 DMZ평화생태관광루트, 녹지축과 연계한 한북·한남정맥 하이킹루트, 수계축을 기반으로 한 한강변 여가관광루트·서해안 해양레저루트·안성천 자전거루트 등을 추진합니다.
도심지 내 개발 가용지가 부족한 점을 고려해 이미 조성된 복합환승센터와 차량기지를 입체복합 개발합니다.
서울역, 청량리, 삼성, 대곡, 용인, 수원, 계양, 부평 등 주요 GTX 역과 수서, 신내, 수색, 구로, 방화, 귤현 등 도시철도 차량기지가 해당합니다.
수도권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분야별 산업벨트를 구축합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부평을 지나 서울 마곡·여의도·용산·청량리·홍릉·삼성·잠실·강남·양재를 글로벌 비즈니스 벨트로 묶어 첨단산업기지로 육성합니다
한강, 서해뱃길 등 해양·수변공간 이용을 활성화합니다.
여의도에 국제여객터미널인 서울항을 조성하고 한강∼경인아라뱃길 유람선 운항을 확대합니다.
서해연안에는 해양환경체험관 등을 만들고 DMZ와 연계한 유람선 시범운행도 추진합니다.
2040 계획에서 서울·의정부·수원·인천은 사회·경제·산업 등 수도권의 종합적 중심이 되는 광역거점도시로 설정했습니다.
또 남양주·고양·성남·화성을 권역거점도시, 파주·부천·안양을 지역거점도시, 포천·강화·양평·이천을 지구거점도시, 하남·김포·용인을 전략거점도시로 정했습니다.
3개 시·도는 이번 계획을 바탕으로 세계 대도시권 중 경제 규모를 현재 5위에서 2040년 3위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입니다.
계획안은 공청회에 이어 지방의회 의견 청취와 시·도 도시계획위원회 자문 절차를 거쳐 국토부에 제출되며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후 최종 확정됩니다.
YTN 김종균 (chong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